닫기닫기
실시간 정보

데이터처리 중입니다.

지역선택

기본 위치 재설정

  지역정보

대기오염정보

출처 : 한국환경공단 제공

통합대기 환경지수

  • 미세먼지

    미세먼지 이미지
  • 초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이미지
  • 오존

    오존 이미지
  • 이산화질소

    이산화질소 이미지
  • 일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이미지
  • 아황산가스

    아황산가스 이미지
예보등급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농도(㎍/㎥) 0~30 31~80 81~150 150이상
그룹 민감군 - 실외활동시 특별히 행동에 제약을 받을 필요는 없지만 몸상태에 따라 유의하여 활동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 제한, 특히 천식을 앓고 있는 사람이 실외에 있는 경우 흡입기를 더 자주 사용할 필요가 있음 가급적 실내활동, 실외활동시 의사와 상의
일반인 - -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 제한, 특히 눈이 아픈 증상이있거나, 기침이나 목의 통증으로 불편한 사람은 실외활동을 피해야 함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제한, 목의 통증과 기침 등의 증상이 있는 사람은 실외활동을 피해야 함
예보등급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농도(㎍/㎥) 0~15 16~35 36~75 76이상
그룹 민감군 - 실외활동시 특별히 행동에 제약을 받을 필요는 없지만 몸상태에 따라 유의하여 활동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 제한, 특히 천식을 앓고 있는 사람이 실외에 있는 경우 흡입기를 더 자주 사용할 필요가 있음 가급적 실내활동, 실외활동시 의사와 상의
일반인 - -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 제한, 특히 눈이 아픈 증상이있거나, 기침이나 목의 통증으로 불편한 사람은 실외활동을 피해야 함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제한, 목의 통증과 기침 등의 증상이 있는 사람은 실외활동을 피해야 함
예보등급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농도(㎍/㎥) 0~0.03 0.031~0.09 0.091~0.15 0.151 이상
그룹 민감군 - 실외활동시 특별히 행동에 제약을 받을 필요는 없지만 몸상태에 따라 유의하여 활동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 제한
일사량이 높은 14시∼16시를 피해 익일 예정된 실외근무 작업시간을 조절하고, 작업 중 휴식시간 검토
가급적 실내활동 및 실외작업 금지
일반인 - -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 제한, 특히 눈이 아픈 증상이있거나, 기침이나 목의 통증으로 불편한 사람은 실외활동을 피해야 함 실외에서의 활동을 제한하고 실내생활 권고
예보등급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농도(㎍/㎥) 0.00~0.03 0.031~0.06 0.061~0.2 0.201 이상
그룹 민감군 - - - 천식과 같은 호흡기질환이 있는 어린이, 성인의 경우 과도한 실외활동 제한
일반인 - - - -
예보등급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농도(㎍/㎥) 0~2 2.1~9 9.1~15 15.1 이상
그룹 민감군 - - 장시간 또는 무리한 실외활동제한, 교통체증지역에서의 활동자제 일상수준의 실외활동도 제한, 외출 시 교통제층 지역은 피하도록 함
일반인 - - - -
예보등급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농도(㎍/㎥) 0~0.02 0.021~0.05 0.051~0.15 0.151 이상
그룹 민감군 - - 천식환자 실외활동 자제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이 있는 어린이 및 성인은 모든 실외활동 금지
일반인 - - - 가급적 실내활동 실외활동시 의사와 상의

※ 민감군 : 영·유아, 어린이, 임신부, 어르신, 호흡기·심혈관 질환자 등 대기오염에 노출되었을 경우 건강 등에 영향을 받기 쉬운 사람

생활기상지수

출처 : 기상청 날씨누리 제공

  • 대기정체지수

    대기정체지수 이미지
  • 자외선지수

    자외선지수 이미지
  • 체감온도

    체감온도 이미지

꽃가루농도위험지수

  • 잡초 이미지
  • 참나무 이미지
  • 소나무 이미지
단계 대응요령
매우높음
  • 기상조건에 의해 대기정체 가능성이 매우 높음
높음
  • 기상조건에 의해 대기정체 가능성이 높음
보통
  • 기상조건에 의해 대기정체 가능성이 보통
낮음
  • 기상조건에 의해 대기정체 가능성이 낮음
구분 상황 대처

대기오염도 높음
대기정체지수 매우 높음
이른 아침, 특히 겨울철 아침에는 '역전층'이 형성돼 공기층의 오염물질이 공기 상층으로 잘 흩어지지 않음. 안개가 끼는 날에는 더욱 심함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은 물론 건강한 사람이라도 겨울철 아침 운동 피하기

대기오염도 높음
대기정체지수 높음
오염물질의 확산이 활발하여 지표의 오염물질 농도는 희석됨, 아침, 저녁으로는 대류현상이 약함 마스크 착용, 실외운동 자제

대기오염도 낮음
공기가 깨끗한 곳이라면 대기정체지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도 됨 천식이나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은 겨울철 아침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음
단계 지수범위 대응요령
위험 11 이상
  • 햇볕에 노출 시 수십 분 이내에도 피부 화상을 입을 수 있어 가장 위험함
  • 가능한 실내에 머물러야 함
  • 외출 시 긴 소매 옷, 모자, 선글라스 이용
  • 자외선 차단제를 정기적으로 발라야 함
매우높음 8이상 ~ 11미만
  • 햇볕에 노출 시 수십 분 이내에도 피부 화상을 입을 수 있어 매우 위험함
  •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외출을 피하고 실내나 그늘에 머물러야 함
  • 외출 시 긴 소매 옷, 모자, 선글라스 이용
  • 자외선 차단제를 정기적으로 발라야 함
높음 6이상 ~ 8미만
  • 햇볕에 노출 시 1~2시간 내에도 피부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위험함
  • 한낮에는 그늘에 머물러야 함
  • 외출 시 긴 소매 옷, 모자, 선글라스 이용
  • 자외선 차단제를 정기적으로 발라야 함
보통 3이상 ~ 6미만
  • 2~3시간 내에도 햇볕에 노출 시에 피부 화상을 입을 수 있음
  • 모자, 선글라스 이용
  •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야 함
낮음 3미만
  • 햇볕 노출에 대한 보호조치가 필요하지 않음
  • 그러나 햇볕에 민감한 피부를 가진 분은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야 함
단계 지수범위 대응요령
위험 38 이상
  •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으니 외출을 자제하고, 실내 또는 시원한 곳에서 쉬기
  •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으니 안부전화 등 수시로 상태 점검
  •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으니 지자체는 취약계층을 무더위쉼터로 이동 지원
  •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으니 열사병 증상(구토, 고열 등) 나타나면 119에 신고
매우높음 35이상 ~ 38미만
  •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으니 냉방장치를 틀거나, 더위를 피할 수 있는 곳에서 쉬기
  •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으니 안부전화 등 상태 점검
  • 영유아·노약자는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으니 외출을 자제하고 휴식 취하기
  •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으니 지자체는 취약계층을 무더위쉼터로 이동 지원
  • 수분과 염분을 섭취하고 현기증, 메스꺼움 등을 느끼면 주변에 도움 요청
  •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으니 열사병 증상(구토, 고열 등) 나타나면 119에 바로 신고
높음 33이상 ~ 35미만
  • 영유아·노약자는 온열질환에 걸리기 쉬우니 건강관리에 유의
  • 차량 안 온도가 높아지면 질식할 수 있으니 어린이·노약자를 혼자 차에 두지 않기
  • 신체가 약한 사람 등은 온열질환에 걸리기 쉬우니 안부전화 등으로 상태 점검
  • 온열질환에 걸리기 쉬우니 무더위쉼터와 같은 더위를 피할 수 있는 곳에서 쉬기
보통 29이상 ~ 33미만
  • 온열질환에 취약한 영유아·노약자는 30분 간격으로 쉬면서 야외 활동
  • 온열질환에 취약한 영유아·노약자가 야외 활동을 할 때 불편해하는지 관찰
  • 온열질환에 취약한 영유아·노약자는 야외 활동 시간을 줄이고, 수시로 상태 확인
단계 지수범위 대응요령
위험 8 이상 ~ 11미만
  • 거의 모든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에게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고 실내에 머물러야 함
  • 부득이하게 외출을 할 경우에는 선글라스, 마스크 등을 반드시 착용
  • 창문을 닫아 꽃가루의 실내 유입을 막음
  • 알레르기 환자의 경우 증상이 심해지면 전문의를 방문함
매우높음 6이상 ~ 8미만
  • 대개의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에게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야외 활동을 자제함
  • 외출 시에는 선글라스, 마스크 등을 착용
  • 외출 후 손과 얼굴을 씻고, 취침 전 샤워를 하여 침구류에 꽃가루가 묻지 않게 하기
높음 3이상 ~ 6미만
  • 꽃가루 알레르기가 약한 환자에게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알레르기 환자는 야외 활동 시 선글라스, 마스크 등을 착용하도록 주의함
보통 3미만
  • 꽃가루 알레르기가 심한 환자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