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환방향족탄화수소란?
두개 이상의 벤젠고리로 구성된 방향족탄화수소의 총칭
다환방향족탄화수소
(PAH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벤젠
고리를 지닌 방향족탄화수소로서 유기물의 연소부산물로 탄소와 수소를 함유한 유기물질이 고온에서 열분해 및 열공정 등을 통해 불완전연소로 인하여 주로 발생합니다. -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100종 이상으로, 일반적으로 단일 화합물이 아닌 혼합물로 존재합니다. 주요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에는 벤조[a]피렌
(Benzo(a)pyrene, CAS 번호 : 50-32-8), 벤조[e]피렌(Benzo(e)pyrene, CAS 번호 : 192-79-2), 크리센(Chrysene, CAS 번호 : 218-01-9) 등이 있습니다.
- 일부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미량으로도 암을 유발시킬 수 있는
발암물질
이거나 돌연변이원성을 가진 물질로 석탄, 가스, 쓰레기, 음식물 등이 불완전연소시 생성되는 인위적 산물입니다.
대기
중에서 대부분 먼지입자와 결합하여 수질 및 토양 등으로 전달되며, 수계에서도 검출되기도 합니다.
주요발생 및 배출원
- 대기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점오염원
과 면오염원에서 주로 배출되며, 화석연료나 나무의 연소, 담배, 자동차의 배출가스 등 인위적 배출원에 의해서도 발생됩니다. -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공기 중에서 먼지 입자에 유착될 수 있으며, 일부는 토양 또는 지표수로부터 공기로 증발될 수 있습니다.
- 자연적 배출원으로는 화산, 산불, 원유 등에서 발생되나 인위적 배출원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양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 대기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호흡을 통해 인체 속으로 유입되어 태아 또는 어린이의 성장발달을 방해하며 장시간
노출
될 경우 피부 발진, 눈 자극 등의 증상을 일으킵니다.
세계보건기구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는 벤조[b]플로란센, 벤조[k]플로란센은 인체 발암물질(Group 2A), 벤조[a]피렌, 크리센 및 플로렌 등을 발암가능물질(Group 2B)로 지정하였습니다. 미국 환경보호청
(EPA) 에서는 인체 발암가능물질 7종을 포함한 16종에 대하여 우선 관리 대상물질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유해대기오염물질
(HAPs, Hazardous Air Pollutants)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