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실내공기_주요실내공기오염물질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

실내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로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라돈, 석면 등 17종에 해당

  • 세계보건기구
    (WHO) 보고서에 따르면, 공기오염에 의한 사망자 수 중 실내공기오염에 의한 사망자 수는 약 47%로 추정되며, 실내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
    이 사람의 폐에 전달될 확률은 실외에서보다 천배가 높고 실내 오염도를 20%만 줄여도
    급성
    기관지질환 사망률은 최소 4~8%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이 밖에도 실내공기오염은
    빌딩증후군
     등 빌딩관련 질병, 복합화학물질과민 증,
    새집증후군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환경부「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물질은 실내공간의 공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가스와 떠다니는 입자상물질을 말합니다.「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는 ① 지하역사, 대합실, 도서관 등 다중이용시설과 ② 아파트, 연립주택 등 일정 규모 이상의 신축 공동주택, ③ 도시철도차 량 등 대중교통차량에서의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
    라돈
    ,
    석면
    등 17종의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정의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오염물질, 배출원, 인체영향, 관리방안으로 구성
    오염물질 배출원 인체영향 관리방안
    미세먼지 황사, 공사장, 자동차 굴뚝 배기가스, 흡연 폐손상, 폐렴, 천식악화 청소, 세탁, 환기, 실내금연
    이산화탄소 난방시설, 호흡활동 두통, 권태, 현기증, 구토, 불쾌감 환기
    VOC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스티렌)
    흡연, 자동차, 페인트, 연소제, 플라스틱원료  호흡곤란, 현기증, 구역질, 피부염,
    눈/코/목 등에 염증
    환기, 친환경제품사용
    총 부유세균 음식물찌꺼기, 분뇨, 공기청정기, 애완동물 열, 기침, 염증, 아토피 피부염 청소, 오염된 물 제거
    일산화탄소 자동차, 공장 연료 연소, 주방, 지역난방 신경계통 침범, 빈혈증 환기
    이산화질소 취사용 가스기구 사용시, 흡연 폐수종 및 폐색성 소기관지염  환기
    라돈 시멘트 사이, 토양  폐암 환기, 틈새 밀봉
    석면 단열재, 천장/바닥 타일, 지붕 폐암, 중피종, 석면폐암 석면 함유물질 취급/제거 금지
    오존 복사기, 프린터 신경계 장애를 일으키는 발암물질 환기
    곰팡이 결로현상이 생겨 습도가 높거나 환기가 불충분할 경우 증식 천식, 비염, 습진, 무좀 건조, 환기
    폼알데하이드 페인트, 접착제, 벽지, 압축목재바닥재 피부발진, 불쾌감, 구토 친환경건축자재 및 마감재 사용, 환기

    출처 : 환경부와 함께하는 환경보건 컨설팅서비스

주요 실내공기 오염원

  • ①건축자재건축자재란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재로서 크게 건축재료와 내장재료로 나뉘며, 이 중 내장재료가 주로 실내용 마감재로 불리우며 벽지, 바닥재, 페인트, 접착제, 실란트, 퍼티 등이 대 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실내마감 건축자재에서 폼알데하이드 및 톨루엔, 자일렌 등
    휘발성유기화합물
    과 같은 오염물질이 방출되며 이들 물질은 눈 및 호흡기에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토피, 두통, 현기증, 집중력저하 등을 유발하는 새집증후군의 원인 중 하나이다.
    ▼ 건축자재 오염원 정보 더보기
  • ②생활용품실내공기 오염을 일으키는 생활용품은 크게 가구류, 전기전자제품류, 기타(청소용품, 방향제, 어린이 장난감 등)등으로 구분되며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생활전반에 사용되고 있어 실내공기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1년 이내에 새가구를 구입한 세대에서 폼알데하이드와 톨루엔 농도가 구입하지 않은 세대보다 높게 나타난 사례가 있으며, 가구 자체의 오염물질 방출량을 평가 한 결과 역시 폼알데하이드와 톨루엔이 가장 많이 방출되는 대표적인 오염물질로 확인되었 다. 또한 가구류에서 방출되는 폼알데하이드는 단시간에 감소되지 않으므로 평소 새 가구 구입 후에는 잦은 환기가 필수적이다.
    ▼ 생활용품 오염물질 농도 및 방출시험 결과 더보기
  • ③자동차 내장재자동차 내장재는 일반 승용차와 버스 등 대중교통차량 내 장착되 는 부분품으로서 그 종류와 형태, 재질이 매우 다양하여 대표적으로 의자, 옆면판(Side Interior Panel), 바닥재, 천장재, 실란트 등이 있다. 신규로 제작되는 대중교통차량의 실내공기질은 거의 대부분 내장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톨루엔, 자이렌 등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알데히드
    류가 방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 대중교통차량 내장재 오염원 정보 더보기

실내공기질 유지 및 권고 기준

  • ① 다중이용시설 소유자는 다중이용시설 내부의 쾌적한 공기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에 맞게 시설을 관리 해야하며, 다중이용시설 특성에 따라 공기질 유지기준과는 별도로 쾌적한 공기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자체 담당자는 권고기준에 맞게 시설을 관리하도록 소유자에게 권고할 수 있습니다.
    ▼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유지 및 권고기준 더보기
  • ② 신축되는 공동주택의 시공자는 시공이 완료된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지자체에 제출하고, 입주민 들이 볼 수 있는 장소에 공고하여야 합니다.
    ▼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더보기
  • ③ 다중이용시설 또는 공동주택을 신축(개·보수를 포함)할 때에는 건축자재가 실내마크를 받은 제품인지 확인 한 후 사용하여야 합니다. 또한 건축자재를 제조 또는 수입하는 자도 건축자재를 공급할 때에는 실내마크 인증을 받은 후에 공급하여야 합니다.
    ▼ 건축자재의 오염물질 방출기준 더보기
  • ④ 환경부장관 및 지자체는 대중교통차량의 실내공기질을 쾌적하게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하여 운송사업자에게 실내공기질을 권고기준 에 맞춰 운행하도록 권고할 수 있습니다.
    ▼ 대중교통차량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더보기

출처

  • 실내공기질 관리법
  •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환경부령]
  • 실내 공기 질 관리법과 정책(환경부 국립환경인력개발원)
  • 실내공기 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4)
  • 주택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매뉴얼(환경부, 국 립환경과학원, 2019)
  • WHO Guidelines for Indoor Air Quality: Selected Pollutants(WHO, 2010)
  • 환경부와 함께하는 환경보건 컨설팅서비스(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 원)바로가기
  • 건축자재 사전적합확인제도(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19)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