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이란?
자연방사능 물질로 폐암 발병 주요 원인물질
라돈
이란 토양, 암석 중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우라늄
(238U)이 몇단계 방사성붕괴를 거듭한 후 생성되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 지구상 어디에나 존재하는 자연방사능
물질입니다. 사람이 연간 노출되는 방사선의 85%는 자연방사선에 의한 것이고, 그 중 약
50%는 라돈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전 세계 폐암
발생의 3~14%가 라돈에 의한 것이며, 라돈을 흡연에 이은 폐암 발병 주요 원인물질로
규정하고있으며, ‘국제라돈방지계획’을 수립하여 실내공기 중 라돈 관리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 라돈은 암석, 토양, 우라늄이나
라듐
이 포함되어 있는 암반 주변에 흐르는 지하수
에서 발생합니다. 땅에 있는 우라늄이
붕괴되면 라듐이 만들어지고 라듐이 다시 붕괴되면서 라돈이 발생됩니다. 발생된 라돈은 기체 상태로 대기
중으로 방출되거나 주변 지하수로
녹아들어 갑니다. - 다중이용시설과 신축공동주택 내 실내 라돈 권고기준을 148 Bq/m3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 제10조의 12(실내 라돈 농도의 권고기준)
주요발생 및 배출원
- 실내에 존재하는 라돈의 80~90%는 토양이나 지반의 암석에서 발생된 라돈 기체가 건물바닥이나 벽의 갈라진 틈을 통해 들어
옵니다. 그밖에 건축자재에 들어있는 라듐 등으로부터 발생(2~5%) 하거나, 지하수에 녹아 있던 라돈이 실내로 유입(1%) 되기도 합니다.
라돈의 전체 인체
노출경로
중 약 95%가 실내공기를 호흡할 때 노출
되는 것이며, 이 밖에 라돈이 들어있는 지하수를 사용할 때 노출될 수 있습
니다.
- 암석, 토양, 건축자재 등에서 발생한 라돈은 압력차, 온도차 등에 의해 대기 중이나 실내 공간으로 확산됩니다. 대기 중에서
의 라돈은 농도가 낮지만 실내 공기 중에는 배출되는 양보다 축적되는 라돈의 양이 많아 대기 중 농도보다 높게 나타납니다.
- 환경부 조사자료에 따르면 계절별로는 실내외 온도차와 환기 횟수 등에 따라 겨울철 실내 라돈 농도가 높게 나타나며, 지역
별로는 화강암, 편마암 지질대 또는 옥천단층 지대가 분포되어 있는 강원도, 전라북도, 충청북도에서 높게 나타납니다.

전국 실내라돈 조사
- 전국 실내 라돈 조사는 우리나라 실내 라돈농도를 측정하여 전국 실내 라돈 분포, 지역 및 건물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 조사입니다. 미국, 영국, 핀란드, 노르웨이,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환경부에서 2007년 실내라돈관리종합대책을 수립한 이후 2008년부터 실시하고 있습니다. 2008년~2009년에는 전국의 초등학교와 읍/면/동 사무소 1,000여 곳, 2009년~2010년에는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실내 라돈 농도를 조사하였습니다.
- 2019년부터는 주택 라돈농도가 높았던 상위 7개 지자체(강원, 대전, 충남, 충북, 전북, 전남, 경북)를 대상으로 실내라돈 집중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전국 실내라돈 조사를 통하여 지자체 라돈관리계획 수립 등 체계적 관리기반 마련을 위한 국가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있으며, 라돈으로부터 안심할 수 있는 실내환경 조성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 실내 공기 중 라돈은 대부분 숨을 쉴 때 호흡기를 통해 몸 안으로 유입됩니다.
유입된 라돈과 이 폐에서 방사성 붕괴 과정을 거치면서 방출된 알파입자가 폐세포를 자극하여 악성종양을 발생시킬수 있습니다.
반감기
가 짧아 몸 밖으로 배출되기 전 방사능 붕괴를 하여 방사선을 방유입된 라돈자손(라돈자손이 부착된 미세입자)은 폐
안으로 들어가면 호흡기에 달라 붙으며, 방사선에 노출된 폐세포는 약성 종양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 라돈은 폐암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
(IARC :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는 라돈 및 라돈자손을 1군 발암물질
로 분류하였으며, WHO에서는 라돈을 흡연에 이은 폐암 원인물질로 지
정하고 있습니다.
행동(대응) 요령
-
-
-
지하수의 라돈 농도가 높을 경우 창문을 열고 10분 이상 끓이거나 잠시 두었다 사용합니다.
-
주택을 짓거나 리모델링할 때 환경표지인증정보를 확인하는 등 친환경 건축자재를 사용합니다.
출처
- 라돈저감 이렇게 하세요(환경부, 2010)
- 생활 속 자연 방사성 물질, 라돈의 이해(환경부, 2016)
- 실내 라돈 관리(한국환경공단, 2016)
- 화학물질 바로알기(환경부, 2012)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