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성유기화합물이란?
증기압이 높아 대기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유기화합물
휘발성유기화합물
이란 높은 증기압을 가지고 있어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성질을 가진 기체나 액체상의 유기화합물을 말합니다. 물속에서는 천연유래의 휘발성유기화합물도 존재하나 공장폐수 등 인위적 오염원에서 배출되어 유입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에 의해 수질오염
이 발생합니다.
-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물질에 따라 다르나 대개의 경우 저농도에서 악취를 유발하고 환경 및 인체에 직접적으로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벤젠
등 일부 물질은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 물속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연료, 가솔린, 용매제, 세탁제, 제유제 및
살충제
를 포함하는 상업 및 산업 용품과 가정용품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으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함유한 원료 및 유기용제
등이 누출 또는 폐기될 때 대기 중에 증발되거나 토양을 통해 물속으로 스며들게 됩니다.
- 국내에서는 유류저장소, 주유소, 공단지역 등에 의해 휘발성유기화합물에 의한 물환경 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 휘발성유기화합물은 호흡 및 피부를 통해 흡수되며
급성
중독일 경우 호흡곤란, 무기력, 두통 등을 초래하고, 만성
중독일 경우 혈액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벤젠 등 일부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 중 미량으로 존재하여도 발암가능성이 있는
유해성
을 가지고 있습니다.
-
-
-
주요 휘발성유기화합물질
-
사염화탄소(CCl4, Carbon Tetrachloride, CAS 번호 : 56-23-5)
정의
무색투명한 액체로 클로로포름과 비슷한 냄새를 가진 물질로 흡입, 섭취 및 피부 흡수에 의해 독성을 보이는 염화탄화수소입니다. 사람의 건강보호를 위한 하천에서 수질환경기준은 0.004mg/L 이하이며,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지정하여 관리 중에 있습니다. 이밖에도 먹는물에서는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로 분류하여 0.002mg/L를 넘지 않아야합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클로로플루오르카본 냉매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며, 드라이크리닝 용제, 소화기, 구충제 등에 사용됩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피부 접촉 시 발포, 홍반, 충혈 증상을 일으키고, 노출 시 구토, 졸음, 착시, 복통 등의 증상을 일으킵니다. 급성 노출 시 중추신경계의 기능저하 및 마취물질이며 중독 시 중독성약시, 중추신경계약화 증상을 유발하거나 심실세동으로 인해 급사할 수 있습니다. 노출 시 특히 간이나 신장이 심하게 손상되어 체중감소, 부종, 황달, 간비대, 무뇨, 식욕감퇴 및 간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벤젠(C6H6, Benzene, CAS 번호 : 71-43-2)
정의
색이 없는 투명한 액체로 휘발유와 비슷한 냄새가 나며, 휘발성이 있어 공기 중으로 쉽게 날아가고 물에 잘 섞이지 않고 불이 잘 붙는 특징이 있습니다. 사람의 건강보호를 위한 하천에서 수질환경기준은 0.01mg/L 이하이며,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지정하여 관리 중에 있습니다. 이밖에도 먹는물에서는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로 분류하여 0.01mg/L 수질기준을 넘지 않아야하며, 생활용수 및 농어업용수로 사용되는 지하수에서는 0.015mg/L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휘발성으로 인해 주로 공기 중으로 배출되며, 물이나 토양으로 배출된 경우에도 대부분 휘발되어 공기 중으로 이동합니다. 산불이나 물건이 탈 때도 자연적으로 아주 적은 양이 발생하나 벤젠을 원료로 사용하는 석유화학단지에서 많이 배출됩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경구 노출 시 흡인 유해성이 있으며, 중추신경계통의 기능저하를 일으킨 후 두통, 어지러움, 졸림과 메스꺼움을 일으킵니다. 악화 시 허탈, 의식불명 및 혼수상태를 유발하고 호흡부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트리클로로에틸렌(C2HCl3, Trichloroethylene(TCE), CAS 번호 : 79-01-6), 테트라클로로에틸렌(C2Cl4, Tetrachloroethylene(PCE), CAS 번호 : 127-18-4)
정의
TCE는 상온에서 색이 없는 투명한 액체로 물보다 무거우며 공기 중으로 쉽게 날아가는 성질이 있으며, PCE는 염소를 포함한 유기화합물로 상온에서 휘발성이 있으며 알코올, 벤젠 등에 쉽게 녹는 성질이 있습니다. TCE와 PCE는 지하수의 수질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섬유, 금속 세정제 등으로 사용되어 주로 공단 등을 비롯한 도시지역 지하수에서 초과 농도를 보이며, 특히 PCE는 물보다 무거워 지하로 수직 이동하는 특성이 있는 대표적인 지하수 오염물질로 환경 상에서 잘 분해가 되지 않아 지하수로 들어가 오랫동안 남아 있으며 적은양이 유출되어도 지하수 수질기준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건강보호를 위한 하천에서 수질환경기준의 PCE 농도는 0.04mg/L 이하로 관리하고 있으며, 두 물질 모두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지정하여 관리 중에 있습니다. 이밖에도 먹는물에서는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로 분류하여 TCE는 0.03mg/L, PCE는 0.01mg/L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생활용수 및 농어업용수로 이용되는 지하수는 TCE는 0.03mg/L, PCE는 0.01mg/L이하, 공업용수로 이용되는 지하수에서는 TCE와 PCE는 각각 0.06mg/L, 0.02mg/L 이하의 수질기준으로 관리 중에 있습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두 물질 모두 유기물질을 녹이고 탈지력이 뛰어나 기름을 제거할 때 주로 사용되며, TCE는 제조업 및 공장 등 가공단계에 이용하는 기름 제조와 양모, 가죽 등의 기름성분 제거, 염료 및 도료 제조 시 용매로 사용되며, PCE는 기기 및 장비 기름제거나 세탁소 드라이 크리닝으로 사용됩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호흡을 통해 유입되거나 오염된 식품이나 물을 섭취하여 유입될 수 있습니다. 몸속으로 유입된 TCE와 PCE는 호흡을 통해 배출되거나 일부는 소변으로 배설되나 몸속에 남아있는 경우 지방에 녹는 성질로 지방조직에 분포하게 됩니다. 고농도에 노출 될 경우 간과 신장에 영향이 나타날 수 있으며, 낮은 농도라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두통이나 현기증, 구토, 졸음, 피부증상 등이 나타납니다.
-
페놀(C6H6O, Phenol, CAS 번호 : 108-95-2)
정의
색이 없는 고체로 달콤한 냄새가 나며, 포함되는 불순물에 따라 황색이나 분홍색인 경우가 있습니다. 물에 잘 녹는 성질을 지니며 알코올, 클로로포름, 에테르, 글리세롤, 이황화탄소 등에도 잘 녹습니다. 페놀은 사람의 건강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수질오염물질로서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지정하여 관리 중에 있습니다. 이밖에도 먹는물에서는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로 분류하여 0.005mg/L 수질기준을 넘지 않아야하며, 생활용수 및 농어업용수로 사용되는 지하수에서도 0.005mg/L 이하, 공업용수로 사용되는 지하수는 0.01mg/L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강한 살균 소독 작용이 있어 살균소독약으로 사용되었으나 악취가 강하며 고농도의 경우 피부 화상을 일으켜 병원에서 배설물을 소독하는 등 한정된 용도로만 사용됩니다. 환경 중 페놀은 화학제품 생산 과정이나 이 물질을 함유한 제품의 사용 과정에서 배출됩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호흡이나 페놀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할 때 인체로 유입되며, 피부 접촉을 통해서도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몸으로 들어온 페놀은 간, 폐, 신장 및 소장의 점막에서 분해되어 소변으로 배설되며, 일부는 호흡과 대변으로 배설됩니다. 짧은 기간 동안 높은 농도로 노출되면 기도 자극, 식욕부진, 체중감소, 두통 및 현기증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낮은 농도에서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현기증, 소화불량, 피부발진, 신경계 영향 및 두통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
톨루엔(C7H8, Toluene, CAS 번호 : 108-88-3)
정의
색이 없는 액체로 특이한 냄새가 나며, 물에 잘 녹지 않으나 에탄올 등 유기용매에 잘 녹는 성질이 있습니다. 휘발성이 있어 공기 중으로 쉽게 날아가며, 불에도 잘 붙는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톨루엔은 사람의 건강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수질오염물질로서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지정하여 관리 중에 있습니다. 이밖에도 먹는물에서는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로 분류하여 0.7mg/L 수질기준을 넘지 않아야하며, 생활용수로 사용되는 지하수에서는 1mg/L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톨루엔은 기초 화학물질의 원료나 새로운 화학물질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유기 합성화학에서 중요한 화합물이며, 물질을 합성하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톨루엔은 주로 화합물이나 화학제품을 제조하거나, 자동차,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할 때 공기 중으로 배출됩니다. 실내 공간에서는 내장재나 가구 등에서 배출될 수 있으며, 건물을 짓거나 고칠 때 사용되는 페인트, 접착제에서도 배출될 수 있습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호흡을 통해 인체로 유입되며, 피부를 통해서도 흡수 될 수 있습니다. 인체로 흡수된 톨루엔은 일반적으로 쉽게 분해되어 몸속에 오랫동안 남아있지는 않으나 고농도의 액체나 기체가 몸에 닿게 되면 피부와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장기간 노출 시에는 눈이 떨리거나 운동 능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두통, 어지럼증, 기억력 장애 또는 환각증세 등 신경계에도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스티렌(C8H8), Styrene, CAS 번호 : 100-42-5)
정의
단냄새, 자극성 냄새가 나는 무색 또는 황색을 띠는 기름성의 액체물질로 사업장에서 주로 합성수지의 원료로 사용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입니다. 스티렌은 얕은 토양과 지표수에서는 증발되며, 남아있는 스티렌은 박테리아 또는 다른 미생물에 의해 분해 될 수 있습니다. 스티렌은 사람의 건강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수질오염물질로서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지정하여 관리 중에 있습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스티렌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을 제조할 때 쓰이며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젠고무 등의 제조원료나 도료, 폴리에틸렌수지, 이온교환수지 원료로서 사용됩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호흡기와 피부를 통해 주로 흡수되며 오염된 식품 또는 물을 섭취하였을 때 유입될 수 있습니다. 인체에 노출되었을 경우 눈 자극, 호흡기, 피부자극, 두통, 피로, 어지러움증, 기억력 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디클로로메탄(CH2Cl2, Dichloromethane, CAS 번호 : 75-09-2)
정의
메틸렌클로라이드, 염화메틸렌, 이염화메틸렌이라고 불리며, 클로로포름과 비슷한 냄새가 나는 무색의 비가연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입니다. 상업적으로는 제조과정에서 메탄을 염소화시킬 때 염화메틸,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와 함께 발생됩니다. 디클로로메탄은 사람의 건강보호를 위한 하천에서 수질환경기준은 0.02mg/L 이하이며,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지정하여 관리 중에 있습니다. 이밖에도 먹는물에서는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로 분류하여 수질기준 0.02mg/L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페인트, 니스, 금속 그리스 등의 제거제와 분사 페인트, 스테로이드, 비타민 약품 제조 등에 사용됩니다. 이 밖에도 사진용 필름의 제조와 커피 카페인 제거를 위해 사용되며, 물질을 함유한 제품 사용 과정에서 배출됩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호흡을 통해 유입되거나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노출될 수 있습니다. 디클로로메탄은 중추신경을 억제하며 눈, 피부와 호흡기를 자극합니다. 고농도의 증기를 흡입할 경우 중추신경과 심장에 장해가 발생하며 수족떨림, 구역질, 현기증, 맥박증가, 피로감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기관지염과 폐부종, 무의식이 일어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남성에게는 생식능력 장해, 여성에게 생식 및 발달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인체발암성 가능물질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