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물_살충제

살충제란?

병이나 해충 등을 방제하는데 사용하는 화학농약 및 생물농약

  • 살충제
    란 농작물의 재배, 저장 중 발생하는 병이나 해충 등을 방제하는데 사용하는 화학농약 및
    생물농약
    입니다. 토양에 살포된 살충제(농약)은 강우 시 유출되어 수계로 유입되며, 수계 내에서
    생물농축
    을 통해 어류에 축적되거나 음용수를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물환경보전법」에 따르면 환경부장관은 수질 또는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수질 또는 토양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을 정할 수 있으며, 이를 초과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할 때에는 농약의 제조 금지·변경 또는 그 제품의 수거·폐기 등 필요한 조치를 관계 행정기관의 장에게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골프장 잔디 및 수목 등에 맹독성 또는 고독성 농약 사용을 금지하는 등 사용을 관리 중에 있습니다.
  • 살충제 주성분에 따른 종류에는
    유기염소계 살충제염소화
    탄화수소
    로 환경
    오염물질
    중 가장 오래 남는 살충제로 DDT 등이 있음
    ,  
    유기인계 살충제유기인화합물을 주체로 한 농약으로 사용 중인 농약 중 가장 많은 종류를 차지함
    ,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카바민산을 골격으로 원자나 원자단이 결합하여 합성된 농약임
    ,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살충제로 곤충을 마비시키는 피레트린 성분을 인공적으로 합성한 살충제임
    등이 있습니다.
  • 질환 및 영향정보

    • 유기염소계 살충제는 신경독성물질로 중추신경에 영향을 미쳐 두통, 구토 등을 나타내며, 다량 섭취시 간과 신장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유기인계 살충제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막아 피부자극, 두통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는 신경 세포막의 나트륨 투과성을 높여 신경을 과도하게 흥분시킬 수 있으며, 중추신경계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 두통/구토

    • 간/신장 장애

    • 피부자극

    • 중추신경계 자극

    주요 살충제물질

    • 1,2-디브로모-3-클로로프로판(C3H5Br2C, 1,2-Dibromo-3-chloropropane, CAS 번호 : 96-12-8)
    • 파라티온(C10H14NO5PS, Parathion, CAS 번호 : 56-38-2)
    • 다이아지논(C12H21O3N2PS, Diazinon, CAS 번호 : 333-41-5)
    • 카바릴(C12H11NO2, Cabaryl, CAS 번호 : 63-25-2)

출처

  • 물환경보전법
  •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 생활속의 화학물질(환경부, 2006)
  • 생활속화학물질 안전하게 사용하기(서울특별시, 2014)
  • 지하수 수질기준과 해설(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09)
  • 화학물질정보시스템(국립환경과학원)바로가기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