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산성질소란?
질소 화합물이 부패, 발포, 산화 등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질산성질소(NO3-N)
란 유해영향 무기물질로 단백질 등 질소 화합물이 부패, 발포, 산화 등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입니다.
- 물 속의 질산성질소는 대부분 동물성 유기물질이 세균에 의해 산화 분해되어 생산된 최종 분해산물이며, 물의 오염지표나 수역에서의
부영양화
지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질산성질소의 농도는 생활용수 및 농어업용수에 사용되는
지하수
의 경우 20mg/L 이하, 공업용수에 사용되는 지하수의 경우 40mg/L 이하의 지하수 수질기준
에 적합하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주요발생 및 배출원
-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오염원인으로는 비료의 과잉사용, 가정오수의 지하침투, 축산
폐기물
, 공장폐수 등의 부적절한 관리에 의해 유입될 수 있으며, 자연적 유입원으로는 토양 및 암반의 침식 등에 의해 유입될 수 있습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 질산성질소의 농도가 10ppm 이상이면 6개월 미만의 유아는 호흡부족 및
청색증
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에서는 질산성질소를 함유한 수돗물에 대하여 유아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행동(대응) 요령
-
이온교환수지, 전염소 처리, 역삼투막법 등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