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유해화학물질_유해화학물질
핵심키워드 :
#유해화학물질 

주요 유해화학물질

유해 및 위해성이 있는 물질로 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및 금지물질

  •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 제2조에 따른 화학물질이란 원소·화합물 및 그에 인위적인 반응을 일으켜 얻어진 물질과 자연 상태에서 존재하는 물질을 화학적으로 변형시키거나 추출 또는 정제한 것을 말합니다. 화학물질은 실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재이나 분해에 오랜 기간이 소요되고 매체별 확산이 가능하며 미량으로도 영향이 치명적이기 때문에
    유해성
    정보를 모르고 사용할 경우 건강 및 환경에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 국내에서 유통되는 화학물질은 4만 여종의 종류가 있으며, 매년 신규 화학물질이 등장합니다.
    유해화학물질
    이란 사람이나 동물의 건강,
    생태계
    및 재산을 손상시킬 수 있는 성질을 가진 물질로 유해 및
    위해성
    이 있는 물질로
    유독물질
    ,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을 의미합니다.
  • 유독물질은 유해성이 있는 화학물질로 850여 개의 물질이 지정되어 관리 중에 있으며, 허가물질은 위해성이 있다고 우려되는 화학물질로 환경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제조, 수입, 사용하도록 고시한 물질을 말합니다. 제한물질은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위해성이 크다고 인정되는 화학물질로 그 용도로의 제조, 수입, 판매, 보관저장, 운반 또는 사용을 금지한 물질로 13개의 물질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금지물질은 위해성이 크다고 인정되는 화학물질로 모든 용도로의 제조, 수입, 판매, 보관저장, 운반 또는 사용을 금지한 물질로 23개가 해당됩니다.

관리현황

  • 화학물질 위해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2013년)하여 제조·수입자로 하여금 화학물질의 유해성, 위해성 정보를 사전에 등록하고 유해화학물질 지정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제조 또는 수입자가 등록한 화학물질은 적정성과 신뢰성 등을 심사하여 인체나 환경에 유해한 성질이 있는지 유해성심사를 수행하며, 국제기구에서 유해성을 평가하는 화학물질 중 우리나라가 평가하기로 한 화학물질 등에 대하여 유해성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이 제출한 자료 또는 국내외 화학물질 정보를 기반으로 화학물질의 사용용도에 대한
    노출평가를 거쳐 화학물질 용도와 관련된 위해도를 도출하는
    위해성 평가
    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유해성이 확인된 화학물질은 유독물질로 지정하고, 위해성이 있는 화학물질은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로 지정하여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취급에 대한 관리와 취급시설에 대한 안전관리를 수행합니다.
▼ 제한물질 더보기
▼ 금지물질 더보기

출처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