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생물의 제거 등을 주된 목적으로 살생물물질을 사용한 제품
구분 | 제품 유형 |
---|---|
살생물물질 | PHMG, PGH 등 |
살생물제품 | 살균제류(소독제류) : 살균제, 살조제 구제제류 : 살서제, 기타 척추동물 제거제, 살충제, 기타 무척추동물 제거제, 기피제 보존제류(방부제류) : 제품보존용 보존제, 제품표면처리용 보존제, 섬유·가죽류용 보존제, 목재용 보존제, 건축자재용 보존제, 재료·장비용 보존제, 사체·박제용 보존제 기타 : 선박·수중 시설용 오염방지제 |
살생물처리제품 | 향균 에어컨필터, 탈취 양말 등 |
발생연도 | 지역 | 살생물제 및 용도 | 인체 및 생태계 영향 |
---|---|---|---|
1940년~1970년대 | 전 세계 | DDT(Dichloro-Dihenyl-Trichloroethane), 살충제 | (생태계) 생물농축으로 고양이, 맹금류 등 포식자 감소 |
1930년~1980년대 | 전 세계 | PCP(Pentachlorophenol), 목재 방부제 | (인체) 급성백혈병, 림프종, 골수증 발생 (인체) 만성적인 체중감소, 천식, 기관지염 발생 |
1980년대 | 전 세계 | TBT(Tributyltin), 방오제 | (생태계) 굴 껍질의 기형 및 쇠고둥의 성전환 유발 (생태계) 면역반응, 신경독성 및 유전적 영향 등 해양생태계 파괴 |
2007년 | 유럽 | DMF(Dimethyl Fumarate), 가죽제품용 향균제 | (인체) 물질, 염증, 발진, 눈 자극 등 심한 피부염, 알레르기 발생 |
2011년 | 한국 | PHMG, PGH, CMIT, MIT, 가습기 살균제 | (인체) 급성 폐질환 발생 |
일반사항 |
|
---|---|
인체 노출 관련 |
|
일반사항 |
|
---|---|
경구노출 사항 |
|
경피‧안구노출 사항 |
|
흡입노출 사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