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기후변화_폭염
핵심키워드 :
#기후변화 
#폭염 
#폭염대응 
연관키워드 :
#열사병 
#열탈진 
#일사병 

폭염

폭염은 일정 기준 이상의 기온상승으로 인해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유발하는 재해

  • 폭염
    이란 평년보다 기온이 매우 높아 더위가 심해서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가 되는 상태이며,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유발하는 재해를 말합니다.
    폭염은 한여름동안 광범위한 지역에서 피해 발생하며, 자산 및 시설 피해보다는 생명관련 피해가 주로 발생합니다. 장기간 지속 시 심각한 2차 피해(전력난, 가뭄,
    수질오염
    등)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폭염특보 기준
구분 판단기준
폭염주의보

폭염으로 인하여 다음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일최고체감온도 33℃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② 급격한 체감온도 상승 또는 폭염 장기화 등으로 중대한 피해발생이 예상될 때

폭염경보

폭염으로 인하여 다음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일최고체감온도 35℃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② 급격한 체감온도 상승 또는 폭염 장기화 등으로 광벙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발생이 예상될 때

주요발생 및 배출원

  • 여름 북태평양 고기압이 강화되면서 한반도가 덥고 습한 기단의 본격적인 영향권에 들어 낮에는 33℃ 이상의 고온이 지속되고 밤에는 고기압권에서 바람이 약하고 습도가 높아 낮 동안 누적된 열이 충분히 소산되지 못해
    열대야
    가 나타납니다. 최근
    지구온난화
    로 인한 평균기온 상승, 도시화로 인한 열섬효과로 인해 폭염이 더 강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 보통 습도에서 25℃이상이면 무더위를 느낌, 장시간 야외 활동 시 일사병 · 열경련 등 질병 발생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밤 최저기온이 25℃이상인 열대야에서는 불면증 · 불쾌감 · 피로감 증대 등의 증상이 발생하고, 기온이 32℃이상 지속될 경우 고령자 · 노약자 등의 사망률이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 온열질환이란 열에
    노출
    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질환을 의미하며, 국제질병사인분류(ICD) 질병코드에 의해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ICD-10 온열질환 종류
T670 열사병 및 일사병(Heatstroke and sunstroke)
T671 열실신(Heat syncope)
T672 열경련(Heat cramp)
T673 탈수성 열탈진(Heat exhaustion, anhydrotic)
T674 염분상실에 의한 열탈진(Heat exhaustion due to salt depletion)
T675 상세불명의 열탈진(Heat exhaustion, unspecified)
T676 일과성 열피로 열성 부종(Heat fatigue, transient)
T677 열성 부종(Heat edema)
T678 기타 열 및 빛의 영향(Other effects of heat and light)
T679 상세불명의 열 및 빛의 영향(Effect of heat and light, unspecified)
  • · 열사병 및 일사병

    • 땀이 나지 않아 피부가 건조해지고 40도를 넘는 고열이 발생하는 온열질환
    • 심하면 의식을 잃을 수 있어 신속한 조치를 취해야 함
  • · 열탈진

    • 40도 이하의 체온으로 땀을 많이 흘리며 힘이 없고 극심한 무력감과 피로를 느낄 수 있는 온열질환
    • 창백해지거나 근육 경련이 일어남
  • · 열실신

    • 어지러우며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온열질환
  • · 열경련

    • 어깨, 팔, 다리, 복부, 손가락 등에서 근육 경련이 일어나는 온열질환
  • · 열성부종(열부종)

    • 손, 발, 발목 등이 붓는 온열질환
  • · 열발진

    • 목, 가슴 상부, 사타구니, 팔, 다리 안쪽 등에서 여러 개의 붉은 뾰루지 또는 물집이 생겨나는 온열질환

대응 요령

    •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의 가장 더운 시간대에는 외출을 자제합니다.
    • 시원한 장소(그늘이 있는 곳, 에어컨이 가동되는 공공건물)에서 휴식을 취합니다.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마셔서 수분을 유지합니다.
    • 커튼이나 천을 이용하여 집안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최대한 차단합니다.
    • 시원한 물로 목욕 또는 사워를 하고, 하루 동안 여러 번 시원한 물로 얼굴과 목 뒷부분에 뿌려줍니다.
    • 평상시대로 음식을 섭취하되, 시원한 음식 특히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과일이나 샐러드 같이 소화하기 쉬운 음식을 섭취합니다.
    •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면 옷을 입습니다.
    • 독거 노인, 아픈 사람 또는 폭염으로 인해 주변에 도움을 필요로 하는 연약한 사람들을 체크하여 도움을 줍니다.

출처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