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기가 흡혈하는 시간은 주로 밤이므로 야간에는 외출을 삼가합니다.
- 운동 시 땀으로 모기가 유인되므로 운동 후에는 반드시 샤워합니다.
- 외출할 때에는 밝은 색의 긴 옷을 착용하며, 노출된 피부에는 모기 기피제를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 취침할 때에는 모기장을 사용합니다.
공중보건에 위해한 감염병 병원체를 전파할 수 있는 설치류나 해충
구분 | 종류 | 내용 | 발생 감염병 |
---|---|---|---|
모기 | 작은빨간 집모기 |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전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면서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종 |
국내 발생 감염병 : 일본뇌염, 말라리아 등 해외 유입으로 인한 발생 감염병 : 지카바이러스, 뎅기열, 웨스트나일열, 황열, 일본뇌염 등 |
이집트 숲모기 |
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미국 남부, 중남미, 태평양 등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세계 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고, 황열(yellow fever)과 뎅기열(dengue fever)을 매개하는 중요한 종 | ||
빨간집 모기 |
뚜렷한 특징이 없는 모기이며 4~6 ㎜ 크기의 암갈색 소형모기로 한국, 중국, 일본 등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으며,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종 | ||
얼룩날개 모기 |
뚜렷한 특징이 없는 모기이며 4~6 ㎜ 크기의 암갈색 소형모기로 한국, 중국, 일본 등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으며,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종 | ||
진드기 | 털진드기 |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쯔쯔가무시를 매개하는 종으로,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쯔쯔가무시균 매개종은 대잎털진드기, 활순털진드기, 수염털진드기, 동양털진드기, 반도털진드기, 사륙털진드기, 조선방망이털진드기, 들꿩털진드기 등 8종이며, 대표적인 종은 활순털진드기임 | 쯔쯔가무시증, 중증혈소판감소증, 라임병 등 |
참진드기 | 국내 및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SFTS)을 매개하는 종은 대표적으로 작은소피참진드기가 있으며, 개피참진드기, 뭉뚝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 등도 SFTS 바이러스 전파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
설치류 | 등줄쥐 | 한국, 중국, 러시아 동부 등의 지역에 분포하며, 한타바이러스, 서울바이러스 등에 감염된 쥐가 매개체가 되어 신증후군출혈열의 감염병을 일으킴 | 신증후군출혈열 |
매개체 | 감염병 | 잠복기 | 주요증상 |
---|---|---|---|
모기 | 말라리아 |
단기 : 7~20일 장기 : 6~12개월 |
|
일본뇌염 | 7~14일 |
|
|
지카바이러스 | 2~7일 |
|
|
뎅기열 | 3~14일 |
|
|
웨스트나일열 | 2~14일 |
|
|
황열 | 3~6일 |
|
|
진드기 | 쯔쯔가무시증 | 1~3주 |
|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 |
6~14일 |
|
|
라임병 | 3일 내지 30일 |
|
|
설치류 | 신증후군출혈열 | 9~30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