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기후변화_감염병 매개체

감염병 매개체

공중보건에 위해한 감염병 병원체를 전파할 수 있는 설치류나 해충

  • 감염병 매개체란 공중보건에 위해한 감염병 병원체를 전파할 수 있는 설치류나 해충을 말합니다. 감염병 매개체는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기후변화
    에 따른 매개체 서식 환경의 변화 등과 해외무역, 여행객들에 의한 국가 간 교류의 증가로 관련 감염병의 증가와 빠른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모기, 진드기, 파리, 벼룩 등이 대표적인 매개체이며, 특히 모기매개 질환인 말라리아,
    뎅기열
    ,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감염, 황열, 웨스트나일열 등은 열대 지역에서 크게 유행하면서 점차 매개모기가 서식하는 아열대, 온대지역으로도 서서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진드기매개 감염병에는 우리나라 가을철 대표 질환인
    쯔쯔가무시
    병 외에도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라임병, 진드기매개뇌염 등이 포함되는데 모기와 마찬가지로 진드기 서식지의 변화도 발생지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매개체 전파 감염병은 아직 효과적인
    백신
    이 개발되어 있지 않고 특히 바이러스 질환들은 치료약물도 아직 없어 예방이 중요한데 해외여행의 증가로 국내 발생 질환 외에도 해외 발생 질환에 대한 현황, 역학적 변화 등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구분 종류 내용 발생 감염병
모기 작은빨간
집모기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전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면서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종 국내 발생 감염병 : 일본뇌염, 말라리아 등

해외 유입으로 인한 발생 감염병 : 지카바이러스, 뎅기열, 웨스트나일열, 황열, 일본뇌염 등
이집트
숲모기
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미국 남부, 중남미, 태평양 등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세계 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고, 황열(yellow fever)과 뎅기열(dengue fever)을 매개하는 중요한 종
빨간집
모기
뚜렷한 특징이 없는 모기이며 4~6 ㎜ 크기의 암갈색 소형모기로 한국, 중국, 일본 등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으며,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종
얼룩날개
모기
뚜렷한 특징이 없는 모기이며 4~6 ㎜ 크기의 암갈색 소형모기로 한국, 중국, 일본 등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으며,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종
진드기 털진드기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쯔쯔가무시를 매개하는 종으로,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쯔쯔가무시균 매개종은 대잎털진드기, 활순털진드기, 수염털진드기, 동양털진드기, 반도털진드기, 사륙털진드기, 조선방망이털진드기, 들꿩털진드기 등 8종이며, 대표적인 종은 활순털진드기임 쯔쯔가무시증, 중증혈소판감소증, 라임병 등
참진드기 국내 및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SFTS)을 매개하는 종은 대표적으로 작은소피참진드기가 있으며, 개피참진드기, 뭉뚝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 등도 SFTS 바이러스 전파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설치류 등줄쥐 한국, 중국, 러시아 동부 등의 지역에 분포하며, 한타바이러스, 서울바이러스 등에 감염된 쥐가 매개체가 되어 신증후군출혈열의 감염병을 일으킴 신증후군출혈열

주요발생 및 배출원

  • 바이러스, 세균 등에
    노출
    된 매개체가 사람이 호흡하는 냄새를 인지하여 피부에 달라붙은 후 흡혈할 준비를 합니다. 주로 팔, 다리, 머리, 목 등의 노출부위 또는 사타구니, 목덜미, 겨드랑이, 엉덩이 등 습한 부위를 물어 체액을 흡인할 때 바이러스 및 세균이 인체 내로 들어가 병을 일으킵니다. 이런 감염 매개체는 주로 숲, 논밭, 공원 등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대부분 야외 활동을 하다가 물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 매개체에 의한 감염병의 증상은 감염병별로 다르지만, 대부분 두통, 근육통, 복통, 발열, 오한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매개체 감염병 잠복기 주요증상
모기 말라리아 단기 : 7~20일
장기 : 6~12개월
  • 삼일열 말라리아 : 오한, 발열, 발한 후 해열이 48시간 주기로 나타남
  • 사일열 말라리아 : 삼일열 말라리아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나 사일열 말라리아는 72시간 주기로 나타남
  • 열대열 말라리아 : 증상이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며, 발열, 오한, 기침 ,빈혈 등의 증상을 보이며 다른 말라리아 종류와 달리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뇌성 말라리아로 진행되여 쇼크, 신부전, 간부전,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 있음
일본뇌염 7~14일
  •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발병하게 되면 고열(39~40℃), 두통, 현기증, 구토,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병이 계속 진행될 경우 의식장애, 경련, 혼수, 사망에 이를 수 있음
지카바이러스 2~7일
  • 발진, 관절통/관절염, 근육통, 결막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이 비교적 가벼우며, 감염자 5명 중의 1명 정도로 증상이 나타남
뎅기열 3~14일
  • 발열, 발진, 두통, 근육통, 관절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뎅기열 자체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없으나, 뎅기출혈열, 뎅기쇼크신드롬 이 나타나면 사망률이 높아짐
웨스트나일열 2~14일
  • 대부분 경증으로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며, 주요증상은 열, 두통, 근육통, 식욕감퇴, 구토, 안구통 등의 증상을 보임
  • 중증감염은 드물게 나타나나 고령인 경우 중증 감염의 위험성이 증가하며, 침범부위에 따라 시신경염, 척수염, 경련 등의 신경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황열 3~6일
  • 고열, 두통, 근육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다가 3~4일이 지나면 대부분 증상이 사라지지만 증상이 심한 사람은 황달, 복통, 구통 등의 증상과 입, 코, 눈, 위장관 등에서 출혈이 발생하고, 급성 신부전이 발생하기도 함
진드기 쯔쯔가무시증 1~3주
  • 처음에는 심한 두통, 오한, 전율이 생기면서 열이 나고 근육통이 심해지면서 진드기에 물린 부위에 1cm 정도의 가피가 나타남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
6~14일
  • 초기에 40도가 넘는 원인불명의 발열과 피로감, 두통, 근육통, 복통, 구토, 설사, 기침 등이 증상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 혈소판감소증, 백혈구감소증, 림프절병증, 위장관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음
라임병 3일 내지 30일
  • 1단계 : 진드기 노출 후 1~3주 후 물린 부위를 중심으로 피부 발진이 생기며, 발진과 함께 두통, 피로, 오한, 열,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남
  • 2단계 : 균이 신경계를 침범하여 근육,이곳저곳을 옮겨 다님. 이과정에서 통증이 발생하며 이외에 숨가쁨, 심전도 이상이 나타나기도 함
  • 3단계 : 관절염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이는 치료를 지 않은 환자의 20% 정도에게서 나타남
설치류 신증후군출혈열 9~30일
  • 발열기 : 갑작스러운 발열, 식욕 부진, 심한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과 결막 충혈, 출혈반(동전만 한 크기의 멍) 등이 발생
  • 저혈압기 : 저혈압이 지속되며, 때로는 쇼크 증상을 보이기도 함. 발열기에는 맥박이 느렸다가 저혈압기에는 맥박이 빨라짐
  • 핍뇨기 : 핍뇨(소변을 적게 봄), 요독증, 심한 복통, 고혈압, 뇌부종으로 인한 경련, 폐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남
  • 다뇨기 : 다뇨(소변을 많이 봄)가 지속되며 심한 탈수 및 폐 합병증으로 사망할 수 있음
  • 회복기 : 전신 쇠약감, 빈혈 등의 증상이 보이나 서서히 회복함

예방 및 관리 방법

  • 감염병별로 진단 및 치료 방법은 다르지만, 대부분 매개체 감염병은 표적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 모기 예방법
    • 모기가 흡혈하는 시간은 주로 밤이므로 야간에는 외출을 삼가합니다.
    • 운동 시 땀으로 모기가 유인되므로 운동 후에는 반드시 샤워합니다.
    • 외출할 때에는 밝은 색의 긴 옷을 착용하며, 노출된 피부에는 모기 기피제를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 취침할 때에는 모기장을 사용합니다.
  • 진드기 예방법
    • 야외활동 시 긴팔, 긴바지, 모자 등을 착용하여 피부노출을 최소화 합니다.
    • 야외활동 및 작업 시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합니다.
    • 풀밭위에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를 세척하여 햇볕에 말린 후 보관합니다.
    • 외출 후 옷은 반드시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을 합니다.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꼼꼼히 확인합니다.
  • 해외여행 시 주의사항
    • 여행할 지역이 어떠한 감염병 유행하는지, 예방약 복용이 필요한 지역인지 전문가와 상의합니다.
    • 출국 전 예방접종, 예방약, 예방물품을 챙기도록 합니다.
    • 해외여행 시 동물 접촉을 되도록 피하도록 합니다.
    • 입국 시 건강상태 질문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합니다.
    • 감염병 의심증상 발생 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신고합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