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질환 정보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질환이란?

호흡을 통한 대기오염물질 노출에 따른 질환

  • 공장, 자동차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양이 증가함에 따라 매연과 유해가스로 공기가 오염되고 있습니다. 대기오염물질에는 아황산가스 등과 같은 가스상 오염물질과 미세먼지 등과 같은 입자상 오염물질이 있습니다. 이러한 유해물질은 호흡을 통해 우리 몸 속으로 들어옵니다.
  • 고농도의 대기오염물질에 노출 될 때 심장질환이나 폐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는 관련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호흡기와 순환기계 질환 발생을 증가시킵니다. 기존 연구자료에 따르면 대기오염물질 중 오존이나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면 호흡기와 순환기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수와 입원자수가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통량이 많은 곳에서 사는 어린이에게서 호흡기계 질환 증상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주요 질환종류

  • 대기오염물질에 따른 질환은 오염물질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대부분 호흡기나 순환기계 질환, 허혈성심질환, 뇌혈관질환(뇌졸중) 등이 나타납니다.
  • 미세먼지는 호흡기나 순환기계 질환 증상을 악화시키며, 천식이나 만성폐쇄성폐질환 등을 유발합니다. 일산화탄소의 경우 저산소증에 의한 태아 발달장애, 심혈관계 질환, 만성 호흡기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질소산화물은 주로 호흡기계를 자극하여 호흡기 질환, 폐수종, 기관지염을 유발하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두통, 졸음, 현기증, 위장신경계 및 중추신경계 이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간접흡연에 따른 질환으로는 영아돌연사증후군, 급성호흡기감염, 중이염, 천식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부모가 흡연을 하는 경우 아이들에게서 호흡기 증상이 발생하고 폐 성장 발달이 지연됨을 보였습니다.
  • 호흡기 질환

  • 순환기계 질환

  • 중추신경계 이상

질환 발생 현황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 따른 국민건강통계 결과에 따르면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주요 질환인 천식, 알레르기비염, 아토피피부염은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 통계 수치는 의사로부터 질환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기오염물질 외 영향요인에 따른 질환 발생도 고려된 수치입니다.

만성질환 유병률 추이

차트이미지: 혈액 내 중금속(납) 노출 현황 -어린이, 청소년 대상

출처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통계

출처

  • Airkorea
  • 강원대학교병원 호흡기질환 환경보건센터
  • 통계청 e-나라지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을 알면 건강이 보이는 어린이 환경보건 가이드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