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의한 질환이란?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
-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기후요소에 직접 노출되거나 보건의료 대응체계에 변화를 일으켜 직접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와 매개체의 상태 혹은 생태를 변화시켜 간접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로 구분됩니다.
- ICPP(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제 4차 보고서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을 폭염 관련 질환과 같이 기후요소에 직접 노출되어 나타나게 되는 건강 영향, 식수 혹은 식품, 대기 질 변화(오염 등)를 통하여 질병 발생에 영향을 미치거나, 절지동물과 설치류 등의 생태 변화에 의한 간접적인 건강영향, 기후변화가 물리적 환경 혹은 사회적 환경 등의 거시적 환경과 보건의료 대응 체계에 변화를 일으켜 나타난 직접 혹은 간접적 건강 영향 등으로 구분됩니다.
- 기온과 관련된 질병과 사망은 직접적인 기온변화로 인한 열중증(온열질환)과 한랭질환, 기온변화에 의한 기존질환의 악화로 구분됩니다.
기후 변화에 의한 건강영향

출처 : 질병관리본부, 대한의학회
주요 질환종류
- 기후변화에 따라 폭염과 한파에 따른 온열질환과 한랭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온열질환으로는 기온이 증가하고 습해짐에 따라 탄저병, 콜레라, 말라리아, 뎅기열, 쯔쯔가무시 등의 전염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랭질환으로는 추위로 인하여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저체온증, 동상, 동창 등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폭염에 의한 온열질환으로는 햇볕에 의한 피부화상,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피로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열사병이란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될 때 체온조절기능의 이상으로 갑자기 발생하는 체온조절장해를 말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중추신경 장해, 현기증, 오심 및 구토 등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열탈진이란 땀을 많이 흘려 염분과 수분손실이 많을 때 발생하는 온열 질환입니다.
- 프레온가스 등에 의해 오존층이 파괴되면 태양으로부터 들어온 자외선이 증가하며, 자외선은 화상, 피부암, 백내장 등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이 밖에도, 폭염으로 인하여 위험이 증가하는 질병에는 당뇨병, 증상성을 포함하는 기질성 정신장애 순환기 계통의 질환, 호흡기 계통의 질환, 신장 질환 등이 있습니다.
질환 발생 현황
- 열대성 전염병에 해당하는 쯔쯔가무시와 뎅기열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말라리아는 퇴치사업 등에 따라 2010년 이후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전염병 환자 발생 현황(명)

출처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법정감염병 발생현황 통계
출처
-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기후변화홍보포털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 기상청, 종합기후변화감시정보시스템
- 질병관리본부, 대한의학회 국가건강정보포털
- 통계청, e-나라지표
- 환경부,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에 따른 국가 기후변화 적응 기본계획(2011~2015) 수립 연구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