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헤더 로고

온열질환
핵심키워드 :
#온열질환 
연관키워드 :
#온열 
#온열질환 
#온열질환자 

온열질환 이란?

열에 장시간 노출되어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

  • 온열질환(한국질병분류번호 : T67)이란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열로 발생하는 급성질환을 말합니다. 비교적 가벼운 일사병부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열사병까지 온열질환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더위가 심해질수록 스스로 대처가 어려운 노인과 어린이, 만성질환자는 실외활동 시 고온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 있습니다.
종류 정의
열사병 (Heat Stroke)
  • 체온을 조절하는 신경계(체온조절 중추)가 외부의 열 자극을 견디지 못해 그 기능을 상실한 질환
  • 다발성장기손상 및 기능장애 등의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고 치사율이 높아 온열질환 중 가장 위험한 질환
열탈진 (Heat Exhaustion)
  •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발생
열경련 (Heat Cramp)
  • 땀을 많이 흘릴 경우, 체내 염분(나트륨) 또는 칼륨, 마그네슘 등이 부족하여 근육경련이 발생하는 질환
  • 특히 더운 환경에서 강한 노동이나 운동으로 발생
열실신 (Heat Syncope)
  • 체온이 높아지면 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체표면의 혈액량은 늘어나고 심부의 혈액량이 감소하게 되어, 뇌로 가는 혈액량이 부족하여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경우
  • 주로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일어나거나 오래 서 있을 때 발생
열부종 (Heat Edema)
  • 체온이 높아지면 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체표면의 혈액량은 늘어나고 심부의 혈액량은 감소
    • 이런 상태에서 오래 서있거나 앉아있게 되면 체표에 순환하던 혈액의 수분들이 혈관 밖으로 이동하면서 부종 발생
열발진/땀띠 (Heat Rash)
  • 땀관이나 땀관 구멍의 일부가 막혀서 땀이 원활히 표피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작은 발진과 물집이 발생하는 질환
일광화상 (SunBurn)
  • 햇빛(자외선)에 오래 노출되어 피부가 붉어지고 염증반응이 생기는 증상

주요발생요인

  • 온열질환은 주로 여름에 발생하며, 특히 폭염주의보 이상 발령한 상태에서 야외 활동 시 땀, 근육이완 호흡증가 등의 급격한 신체변화로 질환이 발생합니다.
  • 열섬현상이 심한 도심 길거리를 걷거나, 그늘이 없는 개활지 등에서 장기간 활동 시 온열질환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주요 증상

  • 온열질환의 주요 증상은 땀을 많이 흘리고, 심한 두통, 오한, 메스꺼움, 어지럼증 등이 있으며, 그 외에 피부 질환으로 부종 또는 물집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발열/발한

  • 심한 두통

  • 구토 및 설사

  • 근육통

  • 부종, 물집

  • 빈혈, 빈호흡, 저혈압

  • 발진, 땀띠

  • 열 실신

응급조치 방법

  • 온열질환자 발견 시
    • (열사병, 열실신) 119에 즉시 신고하고 아래와 같이 조치합니다.
      •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깁니다.
      • 다리를 머리보다 높은 곳에 둡니다.
      • 환자의 옷을 느슨하게 하고 환자의 몸에 시원한 물을 적셔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몸을 식힙니다.
      • ※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음료를 마시도록 하는 것은 위험하니 절대 금지합니다.
  • 외출 후 증상 발생 시
    • (열탈진, 열경련, 열부종) 시원한 곳 또는 에어컨이 있는 장소에서 휴식합니다.
    • (공통) 물을 섭취하여 수분을 보충해줍니다.
      • ※ 땀을 많이 흘렸을 경우에는 이온음료가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과당함량이 높은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 (열탈진, 열경련) 증상이 1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회복되지 않을 경우,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적절한 진료를 받습니다.
      • 병원에서 수액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합니다.
    • (열경련) 경련이 일어난 근육을 마사지합니다.
      • ※ 경련이 멈추었다고 해서 바로 다시 일을 시작하지 말고 근육 부위를 마사지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 (열발진, 땀띠) 환부를 시원하고 건조하게 유지합니다.
      • 발진용 분말가루 및 연고 등을 사용합니다.
    • (일광화상) 일광 화상이 나을 때까지 햇볕을 피하고, 햇볕에 탄 부위는 시원한 천을 대거나 찬물로 목욕하세요.
    • (일광화상) 일광화상 부위에 보습연고를 사용하고, 물집을 터트리지 마세요.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