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은 우리 가정에서 사용한 생활 플라스틱 제품이 마모되거나 장기간 자연환경에 방치·분해되어 발생합니다.
이렇게 발생한 미세플라스틱은 어디로 가는지 같이 알아보아요.
미세플라스틱 주요 배출원
-
플라스틱 폐기물의 쪼개짐 및 침식 작용
-
제품에 첨가된 미세플라스틱
-
양식장 시설물 그물 등에서 파손되어 떨어져 나간 파편
-
세탁 과정에서 떨어지는 섬유
미세플라스틱 발생
- 산업 및 가정에서 발생하여 하수, 담수, 토양 등에 배출되어 해양으로 유입
-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첨가물질 등을 함유한 채로 생물의 체내로 이동
-
1차 미세플라스틱 발생
- - 의도적으로 생산된 미세플라스틱으로 미세플라스틱 자체로 사용되는 배출원
- - 다른 제품이나 상업, 생상 활동 중에 사용되는 발생원
- - 사고 또는 의도하지 않은 유출로 인해 배출되는 미세플라스틱 발생원
- * 1차 미세플라스틱은 유기성화합물질로 알디카브, 벤젠, 사염화탄소, 다이옥신, 이취화에틸렌, 폴리염화 바이페닐(PCBs), 폴리염화 바이닐 등이 포함됩니다.
-
2차 미세플라스틱 발생
- - 풍화작용 및 미생물의 분해에 의해 작은 플라스틱 조각의 원인이 되는 발생원
- - 동물 활동에 의해 분해되는 큰 플라스틱류
- - 오래된 미세플라스틱의 오염된 토양, 퇴적물로부터 재발생 혹은 재부유한 경우
미세플라스틱 노출 및 축적
-
해양으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에서 서식하고 있는 플랑크톤이 1차적으로 섭취
-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 플랑크톤이 물고기 2차적으로 섭취
-
다음 상위 먹이사슬인 더 큰 물고기, 바다 거북이, 고래 등이 섭취
-
고래, 바다새 등의 생명체가 미세플라스틱을 먹이로 오인하여 섭취하면서 성장 장애, 번식력 저하, 감염, 폐사에 이르게 됩니다.
- - 섭식기관 또는 소화관의 물리적 폐쇄 또는 손상
- - 섭식후 플라스틱 성분 화학물질이 내장으로 침출
- - 흡수된 화학물질의 장기에 의한 섭취와 농축
어업 및 인간 음식 섭취
-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 해양생물은 어업을 통하여 육지로 이동
-
우리가 먹는 생선, 새우, 굴, 천연 소금 등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
-
우리의 식생활에 전파
-
섭취 시 인체건강 위해 가능성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