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헤더 로고

미세플라스틱 대응방안은 무엇인가요?

미세플라스틱으로 유입을 막기위해서는 불편하지만 사용을 금지하고, 식품 조리 시 안전하게 제거하는 방법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안전수칙, 하나 미세플라스틱 첨가 제품 사용하지 않기!
    미세플라스틱 첨가 제품 사용하지 않기!
    • 미세플라스틱이 첨가된 제품 사용하지 않기!
    • 플라스틱 병 및 용기제품을 재사용하지 않고 음식을 보관할 시 유리 용기제품 사용하기
    •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자제하고 사용 시 깨끗이 씻어서 분리 배출하기
      • ① 플라스틱 제품의 용기 안에 이물질(담배꽁초 등) 넣지 않기
      • ② 용기 안의 이물질을 깨끗이 씻어서 분리 배출하기
      • ③ 플라스틱 제품에 부착된 상표 스티커는 제거해서 배출하기
      • ④ 투명/반투명, 용기류/비닐류 등 구분하여 분리 배출하기
  • 안전수칙, 둘 수돗물은 여과해서 먹기!
    수돗물은 여과해서 먹기!
    • 수돗물 사용 시 여과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기
    • 식수로 섭취 시 물을 끓인 후 침전되는 물질이 있는지 확인 후 섭취하기
      • ① 냄비나 주전자에 필요한 만큼의 물을 채운 후 약 5분 정도 물을 끓이기
      • ② 끓인 후 뚜껑을 닫아서 물을 식히기
      • ③ 식힌 물은 유리나 스테인리스 병에 옮겨 보관하기
      • *물을 식힌 후 물표면에 떠있는 이물질, 물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이 있다면 절대로 물을 마시면 안되고 전문업체를 통해서 노폐물 제거 및 수도관 교체를 하시기 바랍니다
  • 안전수칙, 셋 식품 조리 전 깨끗하게 손질하기!
    식품 조리 전 깨끗하게 손질하기!
    • 수산물은 가급적 내장을 제거한 후 깨끗하게 세척한 후 조리하기
    • 조개류 등 충분한 해감과정을 거친 후 조리하기
      • ① 용기에 생물 조개류를 담고 물을 살짝 잠기는 높이정도로 채우기
      • ② 소금물의 농도를 3%로 맞추기
      • ③ 서식하는 환경과 동일하게 검정색 덮개를 활용하여 어둡게 하기
      • ④ 해감에 적합한 온도는 15~20℃이므로 여름철을 제외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보관하기
      • ⑤ 해감된 식자재를 물로 세척한 후 조리하기
참고문헌 및 출처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