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헤더 로고

감염 매개체의 유해성
감염 매개체의 유해성
전 세계적으로 매개체 전파로 인한 감염병 환자 및 사망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매개체 전파 감염병은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도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한 매개체 서식 환경의 변화와 무역 및 여행자 등 국가 간 교류활동 증가로 인하여 관련 감염병에 대한 노출이 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모기, 진드기, 파리 등이 대표적인 감염 매개체입니다.
모기매개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감염, 황열, 웨스트나일열 등은 열대지역에서 크게 유행하였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점차 매개체인 모기의 서식지도 아열대와 온대지역으로도 서서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뇌염의 경우 인수공통감염병으로 분리되고 있어 사람이나 동물의 피해도 우려됩니다. 진드기 매개감염병은 쯔쯔가무시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라임병, 크리미안-콩고출혈열, 진드기매개뇌염 등이 있는데 진드기 서 식지도 환경변화에 따라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모기, 진드기, 파리 사진
감염병 매개체의 관리는 우리나라의 경우 질병관리청에서 조사·관리·감시를 하고 있으며, 매개체로 인한 전염병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적용대상 감염병명 등급 매개체 감염병명 등급
모기 말라리아 3급 진드기 쯔쯔가무시 3급
일본뇌염 3급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3급
지카비아러스 3급 라임병 3급
뎅기열 3급 크리미안-콩고 출혈열 1급
웨스트나일염 3급 진드기매개뇌염 3급
황열 3급 설치류 신증후군출혈열 3급
감염 매개체의 유해성
기후변화는 절지동물(모기, 진드기 등)의 분포 및 생존환경을 변화시키며, 이로 인해 더 빠르게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특히 동식물 전체에 영향을 주며, 온도상승에 대한 동식물의 반응은 열대해양 환경에서 강하게 발현됩니다. 기후변화(지구온난화)와 질병패턴의 변화는 생물종의 멸종위기를 증가시키고, 뎅기열·말라리아와 같은 병원성 질병에 의해 인간의 건강에도 직접적인 위험이 존재하며, 매개체 감염병 확산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상승, 감염병 매개체 유충 증식, 감염병 매개체 발생 및 객체 확대, 감염병 발생 확률 상승
출처 및 참고문헌
  • 질병관리청, (2023), 제3차 감염병 예방관리 기본계획(2023~2027)
  • 질병관리청, (2025), 2025년도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 관리지침
  • 질병관리청, (2025), 2025년도 말라리아 관리지침
  • 질병관리청, (2025), 2025년도 바이러스성 모기매개감염병 관리지침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