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활동공간의 환경안전관리는?
- 어린이활동공간 확인검사는 「환경보건법 시행령」제1조의2 에서 정의하는 어린이활동공간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가 신축 또는 일정규모 이상으로 증축, 수선할 때 환경유해인자 시험·검사기관으로부터 환경안전관리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제도입니다.
- 어린이활동공간 지도·점검는 지자체와 교육청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지자체와 교육청의 어린이활동공간 담당 공무원이 관할 시설·영업소 또는 사업장 등을 출입하여 관계 서류나 시설·시설물 등이 환경안전관리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사(지도·점검)하는 제도입니다.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 대상
-
시설물 관리
어린이활동공간에 설치된 시설물은 녹이 슬거나 금이 가거나 도료(페인트 등)가 벗겨지지 않게 관리해야 함
-
도료· 마감재료
실내 및 실외 활동공간에서 사용된 도료, 마감재료는 중금속 기준에 적합해야 함.
또한, 실내 활동공간에서는 「실내공기질관리법」제2조 제3호에 따른 오염물질(총휘발성유기화합물 폼알데하이드)을 방출하지 않고 실내공기오염기준 이내이여야 함
-
목재
바닥에 사용되는 목재에는 유해방부제의 사용을 금함
-
토양 (모래 등)
바닥에 사용되는 모래 등 토양에 함유된 중금속 및 비소는 기준에 적합해야하며, 기생충란이 검출되지 않을 것
-
합성고무 재질 바닥재의 표면재료
중금속 및 폼알데하이드의 기준초과 방출금지
-
실내공기질
어린이활동공간의 실내공기질은 폼알데하이드와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가 기준치 이하일 것
- 「환경보건법」에서는 어린이가 활동하는 실내외 공간에 사용되는 도료, 마감재, 목재, 바닥재 및 실내공기질 등에 대하여 환경안전관리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기준 상세보기
환경보건법에서 어린이활동 공간에 대한 환경안전기준
구분 |
관리기준 |
시설물의 부식 및 노후화
|
어린이활동공간내 모든 시설물에 녹이 슬거나 금이 가거나 도료가 벗겨지지 않아야 함 |
도료 및 마감재
|
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로뮴의 총함량 : 1,000mg/kg 이하 |
납 : 90mg/kg 이하 |
실내의 활동공간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바닥재(표면재료)에 들어 있는 프탈레이트류의 총함량이 0.1퍼센트 이하일 것
- · 다이-2-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Di-2-ethylhexyl phthalate)
- · 다이뷰틸프탈레이트(DBP, Dibutyl phthalate)
- · 뷰틸벤질프탈레이트(BBP, Butyl benzyl phthalate)
- · 다이아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Diisononyl phthalate)
- · 다이아이소데실프탈레이트(DIDP, Diisodecyl phthalate)
- · 다이-n-옥틸프탈레이트(DnOP, Di-n-octyl phthalate)
- · 다이아이소뷰틸프탈레이트(DIBP, Diisobutyl phthalate)
|
실내공기질 오염물질을 방출하지 아니할 것 (건축자재의 오염물질 방출 기준 준수) |
시설의 목재 |
- 위해 목재방부제* 사용금지
- ① 크레오소트유 목재 방부제 1호, 2호
- ② 크롬·구리·비소 화합물계 목재 방부제 1호, 2호, 3호
|
바닥 |
토양 |
카드뮴 : 4mg/kg 이하 |
수은 : 4mg/kg 이하 |
비소 : 25mg/kg 이하 |
납 : 200mg/kg 이하 |
6가크로뮴 : 5mg/kg 이하 |
|
기생충란이 검출되지 않을 것 |
합성 고무 |
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롬의 총함량 : 1,000mg/kg 이하 |
폼알데하이드 방출량 75mg/kg 이하 |
프탈레이트류의 총함량 : 0.1% 이하 |
실내 공기질 |
폼알데하이드 농도 : 80㎍/㎥ 이하 |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 400㎍/㎥ 이하 |
출처 : 환경보건법 시행령 [별표2] 어린이활동공간에 대한 환경안전관리기준
환경유해인자 시험·검사기관 지정 현황
(2023년 8월 기준)
환경유해인자 시험·검사기관 지정 현황
번호 |
기관명 |
지정분야 |
소재지 |
전화번호 |
지정연월일 |
비고 |
제1호 |
(재)한국건설생활환경 시험연구원 |
환경유해인자 시험·검사기관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99 |
02-2102-2608 02-2102-2680 |
2012.11.14 |
|
제2호 |
(재)FITI시험연구원 |
환경유해인자 시험·검사기관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양청3길 21 |
043-711-8868 |
2013.04.05 |
|
제3호 |
(재)한국기계전기전자 시험연구원 |
환경유해인자 시험·검사기관 |
경기도 군포시 엘에스로115번길 74 |
031-428-3817 |
2013.05.15 |
|
제4호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환경유해인자 시험·검사기관 |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
02-2284-1657 |
2013.11.07 |
|
제7호 |
대한산업안전협회 |
환경유해인자 시험·검사기관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공원로 70 |
02-860-7150 |
2015.02.16 |
|
제9호 |
(재)한국환경수도연구원 |
환경유해인자 시험·검사기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28사길 29 |
02-2637-1234 |
2017.05.29 |
|
제10호 |
(사)에스이엘안전기술원 |
환경유해인자 시험·검사기관 |
경기도 화성시 동탄첨단산업1로 63-12 동탄비즈타워1007호 |
031-373-6650 031-8055-7448 |
2023.06.21 |
|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