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실내공기_미세먼지

미세먼지란?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만지(PM10, PM2.5)

  • 미세먼지란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를 말합니다. PM10은 10 ㎛ 이하의 입자 크기의 먼지로 구성된 미세먼지와 PM2.5는 2.5 ㎛ 이하의 입자크기의 먼지들로 구성된
    초미세먼지
    로 구분됩니다. 미세먼지는 일반 먼지들보다 크기가 매우 작아 눈에 보이지 않으며, 실내공기 중에 머물러 있다가 호흡기를 통해 폐, 기관지 등에 침투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는 중량법(여과지에 실내공기를 채취하여 채취 전·후의 여과지 중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농도 측정)과 베타선 흡수법(실리콘 반도체 검출기에 의해 흡수 감지된 베타선 수로 결정)으로 측정하고 있다.

주요발생 및 배출원

  • 실내에서의 미세먼지는 실외
    대기
    중 미세먼지가 유입되거나 바닥 등 실내 자체에서 발생된 미세먼지로 구분됩니다.
  • 미세먼지의 주요 발생 및 배출원

    미세먼지의 주요 발생 및 배출원-외부공기 실내 유입(자연적 발생/인위적 발생), 실내 발생으로 구성
    외부공기 실내 유입 실내 발생
    자연적 발생 인위적 발생
    • 토양(모래) 및 암석조각
    • 황사, 스모그
    • 해염 등
    •  
    • 연료연소
    • 차량배기가스
    • 산업현장 배출가스
    • 흡연 등
    • 인간의 활동(운동 등)
    • 주방조리(요리)
    • 난방기구의 연소
    • 의류 등에 묻은 먼지의 비산
    • 흡연 등

    출처 : 실내 미세먼지 관리 매뉴얼(환경부, 2014)

질환 및 영향정보

  • 미세먼지는 입자가 매우 작아 코털이나 기관지 점막에서 걸러져 배출되지 않고 코, 구강, 기관지를 통하여 우리 몸 속까지 스며듭니다. 
  • 미세먼지가 몸 속에 유입되면
    면역
    을 담당하는 세포가 먼지를 제거하도록 작용하는데, 이 때 부작용인 염증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도, 폐, 심혈관 등 몸의 각 기관에서 염증반응이 발생하면
    천식
    , 호흡기, 심혈관 질환 등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는 농도와 성분이 동일하다면 입자크기가 더 작을수록 건강에 해로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 세계보건기구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는 미세먼지를 사람에게 발암이 확인된 1군
    발암물질
    (Group 1)로 지정하였으며, 미세먼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질환에는
    호흡기 질환
    , 심혈관 질환, 천식 등이 있습니다. 
  • 미세먼지는 노인, 유아, 임산부, 심장 및 순환기 질환자들에게 일반인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하여야 합니다.
  • 호흡기 질환

    기관지에 미세먼지가 쌓이면 가래가 생기고, 기침이 잦아지며 기관지 점막이 건조해지면서 세균이 쉽게 침투 할 수 있습니다.

  • 심혈관 질환

    미세먼지가 폐포를 통해 혈관에 침투해 염증을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혈관에 손상을 주어 협심증,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천식

    미세먼지는 기도에 염증을 일으켜 천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행동(대응) 요령

  • 주기적으로 실내 환기를 합니다. 단, 황사 등으로 외부공기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경우 환기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환기는 오전, 오후, 저녁 하루 3번 30분 이상 해주는 것이 좋으며, 겨울철에는 2~3시간 주기로 1~2분 정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환기시간은 저녁 늦게나 새벽은 피하고 오전 10시 ~ 오후 9시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 규칙적인 청소와 의복, 침구류 등 세탁이 필요합니다.

  • 조리시에는 많은 미세먼지가 발생되므로 환기 후드 작동 및 환기를 실시해야 합니다.

  • 실내 흡연을 삼가합니다.

  • 실내 운동 등의 실내 활동 후 환기를 실시합니다.

  • 공기청정기를 사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좋으나 필터는 정기적으로 청소 또는 교체해야 합니다.

  • 외부로부터 미세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외부와 연결된 통로를 차단하고 창틀 등의 청소를 실시합니다.

  • 환기설비가 있는 경우 가동을 통하여 외부 공기 중 미세먼지 유입을 막으면서 실내 미세먼지 제거를 실시합니다.

출처

  •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 바로알면 보인다. 미세먼지 도대체 뭘까요?(환경부, 2016)
  • 실내 미세먼지 관리 매뉴얼(환경부, 2014)
  • 주택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매뉴얼(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19)
  • EPA(미국 환경보호청)바로가기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