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성유기화합물이란?
실내공기 중 끓는점이 50~100℃에서 240~260℃ 사이에 있는
유기화합물
주요발생 및 배출원
- 실내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스프레이 등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과 페인트, 접착제, 벽지 등의 건축재료, 세탁용제 등에서 발생합니다.
- 실내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발생원은 강도가 일정하게 장기간 배출되는 연속성 발생원과 발생강도가 변하며 단기간 발생하는 불연속성 발생원으로 구분됩니다. 연속성 발생원은 온도, 습도 등에 따라 농도가 변하며, 불연속성 발생원은 배출되는 시간대에 따라 농도가 변화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실내에서 발생되는 VOCs 물질과 발생원
실내에서 발생되는 VOCs 물질과 발생원-물질명, 주요 발생 및 배출원으로 구성
물질명 |
주요 발생 및 배출원 |
벤젠 |
연기, 세척 및 청소용품, 페인트 제거제, 접착제, 파티클 보드 등 |
디클로로벤젠 |
방향제, 좀약 등 |
톨루엔, 자일렌 |
페인트, 바닥용 왁스, 니스, 염료착제, 등유용 난방기구, 벽지 등 |
스티렌 |
담배연기, 코킹제, 발포형 단열제 등 |
출처 : 실내공간의 VOCs 특성 및 제어방안에 대한 기초조사 보고서(환경부)
질환 및 영향정보
-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물질에 따라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호흡 및 피부를 통해 흡수되며 신경계에 장애를 일으키는 발암성 물질입니다.
급성
중독일 경우 호흡곤란, 무기력, 두통 등을 초래하며, 만성
중독일 경우 혈액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벤젠 등 일부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
중 미량으로 존재하여도 발암가능성이 있는 유해성
을 가지고 있습니다.
-
-
-
주요 휘발성유기화합물질
-
벤젠(C6H6, Benzene, CAS 번호 : 71-43-2)
정의
색이 없는 투명한 액체로 휘발유와 비슷한 냄새가 나며, 휘발성이 있어 공기 중으로 쉽게 날아가고 물에 잘 섞이지 않고 불이 잘 붙는 특징이 있습니다. 벤젠 및 이를 85% 이상 함유한 혼합물에 대해서는 유독물질(고유번호 : 97-1-99)과 사고대비물질(고유번호 : 5) 지정하여 관리 중에 있습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벤젠은 다른 종류의 새로운 화학물질을 만드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합성고무, 세제, 농약 등 우리 생활에 필요한 생활용품을 만드는 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벤젠은 산불 등 자연적으로도 발생되나 주로 석유화학단지에서 많이 배출됩니다. 또한 자동차 배출가스나 자동차 연료 주입 시도 배출됩니다. 실내에서 벤젠은 건축자재나 페인트, 가정에서 사용하는 접착제, 세정제, 왁스, 살충제 등 사용시 실내에서 배출될 수 있습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호흡을 통해 인체로 유입되며, 호흡 시 약 50%가 몸 속으로 흡수됩니다. 일부 아주 적은 양이지만 피부를 통해 침투되기도 합니다. 짧은 기간에 높은 농도의 벤젠에 노출되면 마취된 것과 같은 증상이 발생되며 숨쉬기가 곤란하거나 맥박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졸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낮은 농도라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혈액에 문제가 생겨 빈혈이나 백혈병에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
-
스티렌(C8H8, Styrene, CAS 번호 : 100-42-5)
정의
단냄새, 자극성 냄새가 나는 무색 또는 황색을 띠는 기름성의 액체물질로 사업장에서 주로 합성수지의 원료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상온에서 쉽게 증기가 되는 휘발성으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발이 빨리 이루어집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호흡기와 피부를 통해 주로 흡수되며 인체에 노출되었을 경우 눈 자극, 호흡기, 피부자극, 두통, 피로, 어지러움증, 기억력 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톨루엔(C7H8, Toluene, CAS 번호 : 108-88-3)
정의
색이 없는 액체로 특이한 냄새가 나며, 물에 잘녹지 않으나 에탄올 등 유기용매에 잘 녹는 성질이 있습니다. 휘발성이 있어 공기 중으로 쉽게 날아가며, 불에도 잘 붙는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톨루엔 및 이를 85% 이상 함유한 혼합물에 대해서는 유독물질(고유번호 : 97-1-298)과 사고대비물질(고유번호 : 28) 지정하여 관리 중에 있습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톨루엔은 기초 화학물질의 원료나 새로운 화학물질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유기 합성화학에서 중요한 화합물이며, 물질을 합성하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톨루엔은 주로 화합물이나 화학제품을 제조하거나, 자동차,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할 때 공기 중으로 배출됩니다. 실내 공간에서는 내장재나 가구 등에서 배출될 수 있으며, 건물을 짓거나 고칠 때 사용되는 페인트, 접착제에서도 배출될 수 있습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호흡을 통해 인체로 유입되며, 피부를 통해서도 흡수 될 수 있습니다. 인체로 흡수된 톨루엔은 일반적으로 쉽게 분해되어 몸속에 오랫동안 남아있지는 않으나 고농도의 액체나 기체가 몸에 닿게 되면 피부와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장기간 노출 시에는 눈이 떨리거나 운동 능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두통, 어지럼증, 기억력 장애 또는 환각증세 등 신경계에도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자일렌(C8H10 (o-,m-,p-) Xylene, CAS 번호 : 1330-20-7(95-47-6, 108-38-3, 106-42-3))
정의
색이 없는 투명한 액체로 시너와 비슷한 냄새가 나며, 공기 중으로 쉽게 날아가는 성질이 있습니다. 크실렌(자일렌) 및 이를 85% 이상 함유한 혼합물에 대해서는 유독물질(고유번호 : 97-1-275)로 지정하여 관리 중에 있습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자일렌은 기초 화학물질을 만들 때 원료로 사용되며, 합성수지나 합성섬유 등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또한 유성 도료, 접착제, 인쇄용 잉크 등의 용매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배출원으로는 자일렌을 취급하는 사업장, 도료, 접착제를 사용하는 건축현장, 자동차 배기가스 등을 통하여 배출됩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호흡을 통해 인체로 유입되며, 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 피부를 통해서도 흡수 될 수 있습니다.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물질 중 하나로 높은 농도에 노출될 경우 눈과 목 등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출처
- 실내공기질 관리법
- 실내공기질공정시험기준[국립환경과학원고시]
- 생활 속 화학물질 안전하게 사용하기(서울특별시, 2014)
- 실내공간의 VOCs 특성 및 제어방안에 대한 기초조사(환경부, 2001)
- 유독물질 성상과 독성 및 관리 정보 요약서(국립환경과학원, 2016)
- 주택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매뉴얼(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19)
- 화학물질정보시스템(국립환경과학원)바로가기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