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실내공기_총부유세균

총부유세균이란?

공기 중에 떠있는 일반세균과 병원성 세균

  • 총부유세균
    이란 공기 중에 떠있는 일반세균과 병원성 세균으로 1년 내내 실내공기에 존재합니다.
  • 총 부유세균은 먼지나 수증기 등에 붙어 생존하며, 스스로 번식하는 생물학적 오염요소로
    실내공기질
    관리가 소홀하면 순식간에 고농도로 증식합니다. 따라서,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청결상태, 행동양상, 청소상태, 환기상태 등이 총부유세균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 실내 총부유세균은 주로 호흡기관에 영향을 주고 병원성 감염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실내공기 중 총부유세균의 유지기준은 어린이, 노인, 임산부 등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의료기관, 산후조리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800CFU/㎥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발생 및 배출원

  • 음식물 찌꺼기, 새의 분뇨 등과 같은 유기물질, 가습기, 공기청정기, 애완동물 등으로부터 발생하며 습도 70% 이상의 습기가 많거나 20~35℃의 온도 범위에서 번식이 빠르게 발생합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 총부유세균은 실내환경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생물학적 유해인자로 열, 기침, 염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인체의 호흡기, 점막부위, 피부 등에 접촉할 경우 과민성 질환,
    아토피
    피부염, 전염성 질환,
    알레르기
    성 질환,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일부 부유
    곰팡이
    는 가려움증, 습진, 피부반점, 무좀 등의 증상을 일으킵니다.
  • 열, 기침, 염증

  • 아토피 피부염

  • 전염성 질환

  • 알레르기성 질환

  • 호흡기 질환

  • 가려움증/습진

  • 피부반점/무좀

행동(대응) 요령

  • 규칙적인 청소를 하고 에어컨, 가습기는 주기적 내부 청소 및 필터를 교체합니다.

  • 오염된 물은 제거하고 표면은 살균제로 처리합니다.

  • 외부로부터 유입된 먼지 등도 부유세균 농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므로 출입구에 먼지 제거용 바닥매트를 깔고 주기적으로 세척해 줍니다.

  • 오염물질이 실내공간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리실 등에 국소환기설비를 설치합니다.

출처

  • 생활 속 세균 이렇게 관리하세요(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11)
  • 주택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매뉴얼(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19)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