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화탄소란?
탄소성분의 불완전 연소시 발생하는 유독성 가스
- 일산화탄소(CO, Carbon monoxide, CAS 번호 : 630-08-0)는 무색, 무미, 무취의 유독성 가스로 산소의 공급이 충분하지 못한 곳에서 연소하거나,
이산화탄소
가 높은 온도에서 탄소에 의해 환원될 때 발생되는 등 탄소성분의 불완전 연소시 발생합니다. 고농도의 일산화탄소는 인체에 흡입 시 중독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실내에서 일산화탄소는 취사, 난방으로 인한 연소과정에서 주로 발생하며, 흡연에 의해서도 나타납니다.
- 실내공기 중 일산화탄소의 유지기준은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등의 다중이용시설과 어린이, 노인, 임산부 등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는 10 ppm 이하, 실내주차장 등의 다중이용시설에서는 25 ppm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발생 및 배출원
- 일산화탄소는 산불,
광화학반응
등 자연발생원과 난방연료, 자동차 배기가스
등 인위적 발생, 담배연기, 주방 등 실내 발생원에서 발생됩니다.
- 실내에서 일산화탄소는 가스 및 스토브, 물에 의한 난방(보일러) 등 실내 난방이나 차고지 안에서의 자동차 시동 등에 의해서 발생됩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 일산화탄소는 흡입을 통해 인체에 유입됩니다. 일산화탄소 자체로는 독성이 없으나 혈액순환 중에서 산소운반 역할을 하는 헤모글로빈(Hb)을 카르복실헤모글로빈(COHb)으로 변성시켜 산소의 운반기능을 저하시킵니다. 이는 산소공급능력을 방해하여 체내조직세포의 산소부족을 일으켜 중독증상이 나타납니다.
- 고농도의 일산화탄소에 중독되었을 경우 의식을 잃거나 뇌조직과 신경계통에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단기간 고농도의 일산화탄소를 흡입한 경우 저체온, 발열, 혈압변화, 구토, 호흡곤란, 두통, 졸음, 현기증, 환각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만성
적인 영향으로는 성장장애, 만성 호흡기질환(폐렴, 기관지염
, 천식
) 등이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행동(대응) 요령
-
실내 공기를 자주 환기시킵니다. 만약 일산화탄소가 다량 발생되면 환기를 시키고 집 밖으로 나와
외부공기를 흡입합니다.
-
일산화탄소 다량 발생이 우려되는 장소에는
일산화탄소 경보기를 설치합니다.
-
-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