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실내공기_이산화질소

이산화질소란?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적갈색의 반응성이 큰 기체

  • 이산화질소(NO2, Nitrogen dioxide, CAS 번호 : 10102-44-0)는 인체에 유해한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적갈색의 반응성이 큰 기체로 취사 및 난방 등으로 인한 연소와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어 나타납니다.  
  • 대기
    중에서는
    일산화질소(NO)
    의 산화에 의해서 발생하며,
    휘발성유기화합물
    과 반응하여
    오존
    을 생성하는
    전구물질
    로 작용합니다.
  • 실내공기 중 이산화질소의 권고기준은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등의 다중이용시설에서는 0.1 ppm 이하, 어린이, 노인, 임산부 등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는 0.05 ppm 이하, 실내주차장 등의 다중이용시설에서는 0.30 ppm 이하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발생 및 배출원

  • 실내에서의 이산화질소는 연소 작용에 의해 발생된 일산화질소(NO)가 산화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정에서 취사용 가스기구의 사용시 발생됩니다. 이 밖에도 담배연기,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서 배출된 이산화질소가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습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 이산화질소는 고농도에
    노출
    될 경우 눈, 코 등의 점막에서
    만성
    기관지염
    , 폐렴, 폐출혈, 폐수종 등이 발병됩니다. 사람의 호흡을 통하여 인체로 유입된 이산화질소는 폐포까지 도달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 운반능력을 저하시키고 수시간 내에 호흡곤란을 수반한 폐수종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흡입에 의한 독성이 문제가 되지만 자극적인 냄새로 과량 흡입은 흔히 일어나지 않으나 소량의 기체를 지속적으로 흡입 할 경우 코를 마비시키기 때문에 과량의 노출로 인한 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식물에는 식물세포를 파괴하여 갈색이나 흑갈색의 반점이 잎에 나타나게 됩니다.
  • 기관지염

  • 폐렴, 폐출혈

  • 폐수종

  • 식물세포 파괴

출처

  • 다중이용시설의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지침(환경부, 한국환경공단, 2011)
  • 대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산화질소 독성정보(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주택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매뉴얼(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19)
  • 화학물질정보시스템(국립환경과학원)바로가기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