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대장균군이란?
물 속이나 토양 등에 존재하는 종속영양 세균
총 대장균군(Total coliforms)
이란 그람음성, 무아포성의 간균으로 유당을 분해하여 가스 또는 산을 발생하는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균, 갈락토스 분해효소의 활성을 가진 세균을 의미합니다.
- 분원성 병원균의 지표로 이용되지는 않으나 배수 시스템에서 청결성이나 완전성 혹은 biofilm의 존재에 대한 잠재성을 평가하거나 처리효과의 지표적 가치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지하수
에서 총 대장균군이 검출되었다는 것은 검출된 지하수 관정이 분변 등에 오염되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의미합니다. - 대장균군의 하천 생활환경 기준은 총 대장균군과 분원성 대장균군 각각이 50군수/100mL 이하, 10군수/100mL일 때 매우 좋은 환경이며, 5,000군수/100mL, 1,000군수/100mL 이하일 때 보통의 환경으로 구분됩니다.
먹는물 수질기준
에서 총 대장균군은 100mL(샘물, 먹는샘물, 염지하수, 먹는염지하수 및 먹는 해양 심층수의 경우 250mL)에서 검출되지 말아야 하며, 대장균·분원성 대장균군 역시 100mL에서 검출되지 않아야 합니다(샘물, 먹는샘물, 염지하수, 먹는염지하수 및 먹는 해양 심층수의 경우 적용하지 않음).- 지하수
수질기준
에서 총대장균군은 생활용수로 사용되는 지하수에서 5,000군수/100mL 이하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주요발생 및 배출원
- 총 대장균군은 하수나 자연수에서 발견되며, 물 속이나 토양 등의 환경에서 널리 분포하는 대장균군은 종속영양 세균들입니다.
- 사람이나 동물의 분변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영양이 풍부한 물이나 토양 등에서도 존재하고, 퇴비나 거름을 많이 사용하는 농촌지역에서 비교적 자주 검출될 수 있습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 총 대장균군은 일반적으로 무해한 잡균으로 알려져 있으나, 병원균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소독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상시 존재가능하며, 인체에 유입될 경우 비병원성이나 병원성대장균 등 일부는 장관출혈 등 병원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행동(대응) 요령
-
염소소독이나 UV, 오존처리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