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온실가스물질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물질
- 온실가스란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물질로「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른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등으로 적외선 복사열을 흡수하거나 재방출하여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대기 중의 가스 상태의 물질을 말합니다.
- 온실효과란 태양으로부터 유입된 단파장의 복사에너지가 지구 대기권을 통과하여 유입된 후 장파장의 지구 복사로 방출될 때 온실가스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지구가 온난화 되는 현상을 말하며, 온실효과에 따라 지구 기온이 상승하게 됩니다.
주요 온실가스
-
이산화탄소(CO2, Carbon Dioxide)
정의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물질로 온실가스 방출량의 80%를 차지하며, 인간의 화석연료 소비증가로 배출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입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석탄, 석유, 천연 가스 등 화석연료 연소, 벌목과 화재, 산불 등의 잔존물 부패 등에서 배출되며, 식생의 광합성 과정, 해양에서의 흡수 등에 의해 소멸됩니다.
영향정보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물질로 화석연료 소비증가에 따라 배출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입니다.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에 약 100 ~ 300년 잔류되며, 온실가스의 전지구 복사강제력이 산업화 이전 시기(1750년 이전)와 비교하여 2.83W/m2에 이르며 이중 이산화탄소는 약 64%의 전지구 복사강제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메탄(CH4, Methane)
정의
이산화탄소 다음으로 주요 온실가스 중 하나로 ppb(part per billion, 10억 분의 1) 수준으로 대기 중에 존재합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습지, 해양 등에서 자연적으로 배출되며 농업, 축산업, 천연가스 연소 등에서 인위적으로도 배출됩니다. 대기 중 OH라디칼과 반응 및 분해되어 소멸됩니다.
영향정보
메탄은 전지구 온실가스 복사강제력 대비 약 17%를 기여하고 있으며, 대기 중에 약 9년 정도 잔류하고 있습니다.
다른 온실가스에 비해 체류시간이 짧아 정책적으로 배출량을 줄이면 빠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구온난화지수(계수)는 21에 해당합니다.
-
아산화질소(N2O, Nitrous Oxide)
정의
인위적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 메탄 다음으로 높은 농도를 보이는 온실가스로 산업화 이전에는 270ppb 수준으로 존재하였으나, 세계기상기구에 따르면 2018년 대기 중에 약 330ppb 수준으로 존재합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해양, 토양 등 자연에서 배출되며, 화석연료, 생태소각 등 인위적으로도 발생됩니다.
영향정보
대기 중 체류시간은 약 120년으로 1750년 ~ 2012년 사이 복사강제력이 전체 온실가스 중 6%를 차지하였습니다(IPCC, 2013).
지구온난화지수(계수)는 310에 해당합니다.
-
수소불화탄소(HFCs)
정의
오존층 파괴물질인 프레온가스(염화불화탄소(CFC)) 대체물질로 개발되었으며 불연성, 무독성이 특징인 물질입니다.
주요 수소불화탄소에는 HFC-23, HFC-32, HFC-41, HFC-43-10mee 등이 있습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냉장고, 에어컨 등 냉매로 사용되며, 인공적으로 만들어 산업공정의 부산물로 많이 사용됩니다.
영향정보
수소불화탄소의 종류에 따라 지구온난화지수는 150 ~ 11,700로 이산화탄소보다 적게는 몇 백배, 많게는 몇 만배 강력한 온실효과를 보입니다.
-
과불화탄소(PFCs)
정의
탄소와 불소의 화합물로 염화불화탄소(CFC)의 대체물질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과불화탄소에는 PFC-14, PFC-116, PFC-218 등이 있습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전자제품, 도금사업, 반도체의 세척용, 냉매, 소화기 등으로 사용되며, 반도체 제작공정 및 알루미늄 제련 과정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영향정보
과불화탄소의 종류에 따라 지구온난화지수는 6,500 ~ 9,200으로 나타나며, 온실가스 중 차지 비중에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물질입니다.
-
육불화황(SF6, Sulphur hexalouoride)
정의
황 원자를 중심으로 플로오린 원자가 정팔면체 구조를 취하고 있는 화합물이며, 비활성 기체로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열적 안전성과 절연성이 높은 물질입니다.
주요 발생 및 배출원
전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특성으로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 많이 사용되며 전기제품, 변압기 등 절연가스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영향정보
대기 중 양은 이산화탄소의 1% 미만으로 적은 양이지만 지구온난화지수가 23,900으로 높은 기체입니다. 또한 반감기가 3,200년으로 배출 후 소멸까지 수천 년이 걸립니다.
관리현황
- 온실가스 감축을 위하여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수립하여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부문별 정책을 수행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탄소포인트제도,
탄소발자국제도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질환 및 영향 정보
- 온실가스는 지구온난화를 야기하여 기후변화를 발생시킵니다. 기후변화는 일정 지역에서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기상의 변화를 말합니다.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폭염과 가뭄, 홍수 등 기상현상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기후변화에 해당합니다.
- 기후변화가 발생되면 기온이 상승하고 강수량이 변화하며, 해수온 및 해수면이 상승 하는 등 생태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
생태계 변화
최근 30년간 봄꽃 개화 시기가 6~8일 당겨짐
-
-
폭염 피해 증가
1991-2003년 동안, 2,131명 사망 추정
-
태풍·호우 피해
지난 10년간 72명 인명피해, 1.7조원 피해 발생
-
어장 변화
고등어, 멸치 등 난류성 어종 증가
-
농작물 재배지 변화
사과의 주산지가 대구에서 영월로 북상
-
가뭄심화
최근 10년 109개 시군에서 40만명 제한급수 발생
-
산사태 대규모화
지리산 등 폭우로 인하여 매년 1천ha 산사태 발생
출처 : 기후변화_이제는 적응입니다.(환경부, 2010년)
- 또한 기후변화에 의한 폭염 및 자외선으로 피부암, 백내장 등 관련 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기상재해로 인한 사망자수 증가, 쯔쯔가무시 등 전염병 발생과 유해물질 노출 등에 의한 아토피, 천식 등 환경성질환자 증가 등이 발생합니다.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