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의 접착제, 탈취제, 세정제 등 가정에서 사용 중인 생활화학제품에서는
다양한 화학물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거실 / 방 (Living room)
잠을 자고, 공부를 하고, 휴식도 취하는 공간인 방과 거실에는 우리가 미처 몰랐던 여러 화학물질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거실/방에 존재하는 여러 화학물질
생활화학제품 |
발생가능 주요 화학물질 |
주요 영향 |
접착제, 페인트
|
톨루엔, 1,4다이옥신, 폼알데하이드 등 |
눈, 피부, 호흡기 자극 등
|
좀약
|
나프탈렌, 1,4-다이클로로벤젠 등 |
두통, 구토, 눈 및 피부 자극 등
|
탈취제와 방향제
|
트라이에틸렌글리콜 등
|
눈, 피부, 호흡기 자극 등
|
살충제
|
사이퍼메트린, 퍼메트린 등
|
호흡기, 피부 자극 등
|
방수 스프레이
|
불소공중합체 등
|
호흡기 자극 등
|
주방 (Kitchen)
요리를 하고, 식사를 하며 가족과 대화하는 공간인 주방에도 화학물질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방에 존재하는 여러 화학물질
생활화학제품 |
발생가능 주요 화학물질 |
주요 영향 |
세정제
|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등
|
피부염, 호흡기 자극 등
|
식기 세척용 세제
|
계면활성제 등 |
피부 건조증, 피부 자극 등
|
욕실 (bathroom)
빨래하고, 샤워도 하고, 화장실로 사용되는 공간인 욕실에도 화학물질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욕실에 존재하는 여러 화학물질
생활화학제품 |
발생가능 주요 화학물질 |
주요 영향 |
삼푸, 비누, 바디클렌저
|
라우릴 황산나트륨(SLS), 라우릴 에틸렌 황산나트륨(SLES) 등
|
눈 및 피부 자극 등
|
세정제, 곰팡이 제거제
|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등
|
피부와 눈, 호흡기, 소화기 자극 등
|
세탁용 세제
|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등
|
피부, 눈, 호흡기 자극 등
|
스프레이용 방향제
|
에탄올 등
|
눈, 호흡기 자극 등
|
출처 및 참고문헌
- 환경부,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3조(정의)
- 환경부,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5조(적용 범위)
- 환경부, (2012), 환경을 알면 건강이 보입니다
- 환경부, (2010), 알기쉬운 화학물질이야기
- 환경부, (2010), 우리집과 화학물질이야기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