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의 인공조명 노출은 수면장애와 생체리듬 교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국내 환경보건 연구 중 생활공감 환경보건 기술개발사업을 통하여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눈부심
-
순간적으로 시기능을 저하하여 사물을 구분하지 못하며, 시력을 일시적으로 회복하는데 거북하고 불쾌한 느낌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
장기적으로 노출 시 눈이 시리고, 눈물이 지속적으로 나오거나, 안구가 건조해지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
증상 및 질환 : 눈의 순응장애, 색상 인식 저하, 대비인식 능력의 감소, 안구 건조증 등
수면장애
-
수면을 취하지 못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있음에도 낮 동안에 각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 또는 수면리듬이 흐트러져 있어서 잠자거나 깨어 있을 때 어려움을 겪는 상태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
증상 및 장애 : 불면증, 과면증, 기면증, 스트레스, 우울증, 당뇨발병률 증가 등
생체리듬 교란
-
우리 몸의 생체시계 리듬이 환경의 밤낮 리듬과 일치하지 않아 적절한 시간대에 잠을 잘 수 없고, 깨어있고자 하는 시간대에는 과도한 졸림이 생기는 상태를 말합니다.
-
야간 빛 노출과 야간 활동의 증가 등으로 수면-각성주기 장애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
증상 및 장애 : 시차 증후군, 수면장애, 비만, 우울증, 조울증, 계절성 정서 장애 등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