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헤더 로고

대응방법
대응방법

감염 매개체의 접촉 및 감염기회 차단을 할 수 있는 대응방법을 같이 알아보아요.

  • 모기 매개체 대응방법
      • 모기가 주로 활동하는 장소 및 주로 흡혈하는 밤시간대의 야외활동을 자제해주세요
      • 기피제를 적정량만큼 몸에 뿌려주세요.
        * 손과 팔 같은 노출부위에 바르고, 상처 부위, 눈 주위에는 사용하지 않으며, 전체 체표면적의 20%를 초과하지 않도록 사용하세요
      • 옥내 살충제인 에어로졸제제, 모기향, 전자매트제제 등을 사용하세요.
        *옥내 살충제 중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및 상생물제품으로 환경부 승인 허가제품을 사용하세요
      • 야외 활동시 어두운 색은 모기를 유인하므로, 밝은색의 긴팔 상의와 하의를 착용해주세요.
      • 모기장 및 방충망을 설치해주세요.
  • 진드기 매개체 대응방법
    모기, 진드기, 파리 사진
구분 야외활동 시 농작업 시
외출전
  • 긴 팔, 긴 바지, 모자, 목수건, 장갑, 목이 긴 양말, 등산화, 장화 등
  • 진드기 기피제 보조적으로 사용
    *진드기 기피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가된 제품을 사용설명서에 따라 주의사항 등을 고려하여 사용하며, 기피제의 효능 지속시간을 확인 후 활동 중에도 주기적으로 사용 권고
외출증
  • 숲 지역을 걸을 때 길을 벗어나지 않기
  • 수풀이나 잡초에 스치지 않도록 보행로 중앙으로 걷기
  • 기피제 효능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사용
    *진드기 기피제를 신발, 양말, 바지 등에 적절한 주기로 사용하기
  • 풀숲에 옷 벗어 놓지 않기
  • 휴식 시 돗자리 사용하기
  • 풀숲에 용변보지 않기
  • 농경지 및 그 주변과 주거지 및 그 주변 풀숲 제거
  • 보조도구 이용 : 농작업용 앞치마, 농작업용 방석, 휴식 시 돗자리 사용
  • 기피제 효능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사용
  • 풀숲에 옷 벗어놓거나, 앉지 않기
  • 풀숲에서 용변 보지 않기
외출 후
  • 귀가 즉시 농작업복 일체 세탁하기
  • 평상복과 분리 세탁
  • 귀가 즉시 농작업복 일체 세탁하기 *평상복과 분리 세탁 귀가 즉시 입욕 및 샤워(온몸을 꼼꼼히 씻기)하기 몸에 벌레 물린 상처(또는 검은딱지) 또는 진드기가 물고 있지 않은지 확인하기
출처 및 참고문헌
  • 질병관리청, (2023), 제3차 감염병 예방관리 기본계획(2023~2027)
  • 질병관리청, (2025), 2025년도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 관리지침
  • 질병관리청, (2025), 2025년도 말라리아 관리지침
  • 질병관리청, (2025), 2025년도 바이러스성 모기매개감염병 관리지침
  •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