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닫기
실내공기_석면

석면이란?

돌이지만 솜처럼 가볍고 부드러운 물질

  • 석면
    (Asbestos, CAS 번호 : 1332-21-4)은 돌이지만 솜처럼 가볍고 부드러운 물질로 하나의 광물이 아닌 비슷한 특성을 지닌 섬유 모양을 한 광물들을 통틀어 석면이라고 합니다. 석면 섬유가닥은 머리가락의 약 1/5,000정도로 매우 가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 석면은 크게 사문석계 석면과 각섬석계 석면으로 계열이 나뉘며, 백석면, 청석면, 갈석면, 직섬석석면, 투각섬석석면, 녹섬석석면의 종류로 나뉩니다. 6종류의 석면 중 백석면, 청석면, 갈석면이 많이 사용되며, 청석면, 갈석면, 백석면 순으로 사람의 몸에 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과거 석면은 절연성, 내열성, 섬유성, 방부성, 내화성, 내마모성 등의 특성이 있어 산업적, 상업적 가치를 높게 인정받았으며, 건축자재 등에 사용되어 우리 생활 주변에서도 쉽게 발견됩니다. 현재는 석면에 대한 건강 영향에 따라 백석면(백석면 및 이를 1% 이상 함유한 혼합물)은
    제한물질
    (고유번호 : 06-5-7)로 지정되어 석면시멘트제품 및 석면마찰제품의 용도로 제조, 수입, 판매, 보관ㆍ저장, 운반,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청석면(청석면 및 이를 1% 이상 함유한 혼합물)은
    금지물질
    (고유번호 : 06-4-27)로 지정되어 이를 함유한 제품은 제조, 수입, 판매, 보관ㆍ저장, 운반,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주요발생 및 배출원

  • 석면은 석면시멘트판, 석면
    슬레이트
    , 바닥용 타일, 마찰재 등에 사용됩니다. 건축자재나 마찰재, 단열재로도 사용되고 있어 이를 사용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에서도 배출될 수 있습니다.

질환 및 영향정보

  • 석면은 석면광산, 석면건물, 석면 제품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석면가루가 코나 입으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석면은 15 ~ 40년의 잠복기를 가지고 있어 침묵의 살인자, 조용한 시한폭탄이라고 불립니다.
  • 우리 몸에 유입된 석면은 산이나 알칼리 등에 부식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우리 몸속에 남아 손상을 줍니다. 특히 석면섬유의 경우
    대식세포이물질 공격과 청소를 담당하는 폐조직의 세포
    로는 석면섬유를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 석면섬유를 감쌌던 대식세포의 잔해를 석면소체라고 하는데, 석면소체는 몸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여 수십년의 잠복기를 거쳐
    폐암
    ,
    악성중피종
    ,
    석면폐증
    , 흉막비후 등의 질병을 유발합니다.
  • 폐암

  • 악성중피종

  • 석면폐증

  • 석면에 의한 질환 정보

    석면에 의한 질환 정보-질병명, 잠복기간, 내용, 주요증상으로 구성
    질병명 잠복기간 내용 주요증상
    폐암 10 ~ 30년 석면섬유가 폐에 들어가 폐장의 세포에 작용하여 세포가 이상 증식하는 악성 종양 호흡곤란, 피로감, 체중 감소 등
    악성중피종 20 ~ 40년 흉막, 복막, 심막 등의 체강장막강을 덮고 있는 중피표면 조직에 발생하는 종양 복부 통증, 복부 팽만, 가슴 통증, 호흡곤란, 피로감, 식욕감퇴 등
    석면폐증 10 ~ 20년 석면섬유가 폐에 들어가 폐장의 침착에 의한 섬유화이며, 흉막의 섬유화는 무관함 호흡곤란이 석면 노출이 끝난 다음 여러 해 동안 서서히 진행되며 초기에는 마른기침, 호흡곤란 등이 발생

    출처 : 환경부 석면관리종합정보망

석면 관리 현황

  • 우리나라는 청석면, 갈석면, 트레몰라이트, 액티노라이트, 앤소필라이트 등 석면의 제조, 수입, 판매, 보관·저장, 운반,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자연적으로 발생한 석면과 건축물 등에 사용된 석면 관리를 위하여 석면건축물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환경부는 취약·민감계층 이용시설에 대하여 석면조사 및 안전관리를 지원하고 있으며, 노후 석면슬레이트 철거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 석면으로 인하여 질병에 걸렸을 경우 피해구제를 위하여 석면피해구제제도를 운영 중에 있으며, 석면 피해 인정을 받게 되면 진찰, 검사 비용 중 본인 부담금 등을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환경보건포털  EHTIS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 관련 문의)02-2284-1817, (기술 문의) 02-2284-1478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