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은 거의 대부분의 일과를 실내에서 생활하므로 실내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내공간의 실내공기질 이렇게 관리해 봅시다.
-
관리방법 하나,
철저한 환기
실내에 정체되어 있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깨끗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
- 자연식 환기
- - 출퇴근 시간을 제외한 오전, 오후 하루 3번 환기하기
- 기계식 환기
-
관리방법 둘,
곰팡이/결로방지 관리
오염물질 발생원 제거 및 방지하기
- 실내의 습도가 높고 온도가 차가운 곳을 상시적으로 관리하기
- 제습기 사용 및 환기 자주하기
- 결로 및 곰팡이 등 오염부위 제거하기
- 가구 등 벽에서 살짝 띄워서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하기
-
관리방법, 셋
정기적인 청소/소독
진드기나 미생물 성장 억제를 통한 위생관리, 실내 청결상태 유지하기
- 실내 먼지 제거하기
- 방향제 사용 자제하기
- 조리 시 창문 개방 및 국소배기장치 가동하기
- 음식물 쓰레기 바로 처리하기
-
관리방법, 넷
적정 실내온·습도 유지하기
사람이 가장 쾌적하게 느낄 수 있고 건강한 환경 조건인 온도 18~22℃, 습도 40~60% 유지하기
- 실내 습도를 낮추는 방법
- - 난방기 가동
- - 제습제 및 제습기 사용
- - 주택 내 숯 비치
- 실내 습도를 높이는 방법
- - 가습기 사용
- - 주택 내 숯 비치
- - 실내 녹색식물 키우기
- - 미니수족관 및 분수대
- - 실내에 젖은 빨래 널기
-
관리방법, 다섯
친환경제품 사용
오염물질 방출율이 낮은 친환경 제품, 자재 사용으로 실내오염물질 발생량 줄이기
- 리모델링 시 : 친환경 마크가 있는 건축자재 및 인테리어 제품 사용
- 가구 : 친환경 제품 구입
- 전자제품 : 사용 후 환기하기
-
관리방법, 여섯
베이크 아웃 실천
실내공기 온도를 높여 건축자재 등에서 방출되는 유해오염물질의 방출량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킨 후 환기시켜 실내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 옷장, 서랍 등 모두 개방하고 창문 밀폐
- 실내 온도는 30~40℃로 설정
- 5~6시간 동안 유지
- 모든 문을 개방하여 환기 ( 3회 이상 실시 → 오염물질 대폭 감소)
참고문헌 및 출처
- 실내공기 제대로 알기, 환경부, 2019
- 주택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매뉴얼,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2019
Copyright © KEITI. ALL RIGHTS RESERVED.